닫기

문재인의 길, ‘노무현의 남자’서 민주 대선후보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698037

글자크기

닫기

박정배 기자

승인 : 2012. 09. 16. 16:35

* 인권변호사, 청와대 비서실장 거쳐 대선후보로 거침없는 행보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경선 후보가 16일 경기 고양시 고양체육관에서 열린 서울 지역예선에서 대선후보로 확정된후 후보 수락 연설을 하고 있다. /고양=이병화 기자 photolbh@

민주통합당의 제18대 대선 후보로 최종 확정된 문재인 후보는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청와대 비서실장을 거쳐 유력한 대선 주자까지 거듭난 인물이다.

문 후보는 1953124일 경남 거제에서 태어났다. 1972년 경희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한 뒤 19758월 육군 특전사령부 제1공수 특전여단에서 수중폭파요원으로 복무했다. 전역 후 1980년 제22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1982년 사법연수원을 차석으로 수료했지만 시위전력으로 인해 판사 임용이 좌절됐다.

변호사의 길로 들어선 문 후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법시험 동기인 박정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소개로 노 전 대통령을 만났다. 법무법인 부산에 들어간 문 후보는 이때부터 노 전 대통령의 가장 친한 벗이 돼 조력자로 활동했다.

그러나 문 후보는 선뜻 정치계로 나서지 않았다. 노 전 대통령이 1988년 국회의원에 당선돼 청문회 스타로 떠올랐을 때도 문 후보는 인권 변호사로서의 활동을 계속했다. 그동안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사건, 동의대학교 사건 등의 변론을 맡아왔다.

문 후보는 노 전 대통령이 지난 2002년 새천년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당선된 뒤 부산시장 출마를 권유했을 때도 나는 참모용이라며 더 나은 사람이 출마해야한다는 이유로 고사했다.

이후 문 후보는 2003년 노무현 정부가 출범한 이후 초대 민정수석이 됐다. 그러나 건강상의 이유로 1년 만에 그만뒀다. 하지만 네팔에 산행 여행을 떠난 중 노 전 대통령의 탄핵 소식을 들은 문 후보는 귀국해 변호인단을 구성했다. 2005년 다시 청와대에 들어가 시민사회수석, 민정수석을 거쳐 비서실장에 올랐다.

문 후보는 노 전 대통령이 퇴임한 후 지난 2009년 투신 서거한 뒤 상주 역할을 맡아 장례 절차를 진행했다. 이후 사람사는 세상 노무현 재단의 이사장을 맡았다. 이때부터 문 후보는 유력한 대권 후보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이후 문 후보는 본격적으로 정치 행보를 시작했다. 지난 4월 열린 총선에서 부산 사상구 민주통합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됐다. 이어 523일에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 3주기를 맞아 노무현 재단 이사장직에서 물러나며 이제 정치인 문재인으로 다시 시작한다”며 대권 도전의 시작을 알렸다.

문 후보는 지난 617일 서울 서대문 독립공원에서 18대 대선 출마를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문 후보는 불비불명(不飛不鳴)’의 고사를 인용하며 남쪽 나뭇가지에 머무르지 않고 국민과 함께 높이 날고 크게 울겠다고 출마의 변을 밝혔다.

이후 문 후보의 기세는 거침없었다. 지난달 25일 제주에서 시작한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문 후보는 13전 전승을 거두며 타 후보를 압도적으로 누르고 민주당 대선 후보가 됐다.
박정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