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미·중·러 초강대국 우주 경쟁으로 인도·일본 안보 우려

미·중·러 초강대국 우주 경쟁으로 인도·일본 안보 우려

기사승인 2019. 01. 10. 14:4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KakaoTalk_20190110_162219964
미국·중국·러시아 등 초강대국들의 우주개발 경쟁에 대해 인도와 일본, 그 외 우주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국가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자국의 위성이 초강대국들의 새로운 우주 무기나 정밀한 해킹 기술에 의해 위협받을 수 있다는 공포가 커지면서 이들은 초강대국들을 따라잡기 위한 우주개발 부담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까지도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닛케이아시안리뷰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인도와 일본이 오는 3월 ‘우주 대화’(Space Dialogue)를 시작하기로 결정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양국은 우주 대화를 통해 달 탐사와 관련한 기술적 협력을 도모하는 동시에 감시정보 공유 문제를 포함한 안보 협력과 관련해서도 논의할 계획이다.

미국의 비영리단체 ‘참여 과학자 모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30일 기준으로 지구 궤도에는 1957개의 위성이 존재하며, 이 가운데 미국이 849개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중국이 284개로 2위, 러시아가 152개로 3위를 차지했다. 인도와 일본은 각각 57개와 75개로, 두 나라가 힘을 합칠 경우 132개의 위성을 보유하게 되는 셈이 된다.

인도는 이미 저가 위성업계에서 주요 사업국 중 하나로 자리매김한 상태. 2014년 겨우 7600만 달러(약 852억원)를 들여 탐사선 ‘망갈리안’을 화성 궤도에 진입시키는데 성공한 바 있다. 그러나 인도는 자국의 앞마당인 인도양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중국을 경계, 중국의 우주개발 활동을 감시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기 위해 서두르고 있다. 우주 대화를 통한 일본과의 협력 모색도 이 같은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인도의 방위 초점이 지상에서 우주공간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은 지난해 12월 19일 군사용 통신위성 ‘GSAT-7A’를 발사한 사실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일본도 지난해 12월 ‘방위계획대강(大綱)’ 개정안을 통해 우주공간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방위상은 당시 기자들에게 우주·사이버·전자파(EMP)를 취급하는 전자전(戰) 등 놀라운 속도로 진화하고 있는 새로운 안보 환경과 대응 방안이 일본의 주된 관심사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미국과 중국 두 초강대국 간의 우주개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지난 1월 3일 중국은 최초로 달 뒤편 착륙에 성공하는가 하면 지난해 12월에는 독자 개발 위성항법장치(GPS)인 ‘베이더우(北斗·북두)’의 범위를 전세계로 확대하기도 했다. 또한 2020년 화성 탐사선을 발사하고, 2022년에는 우주정거장을 완성한다는 목표다. 이 같은 중국의 우주개발은 표면상 평화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중국의 기술 진보는 분명히 지정학적·군사적 함의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미국도 새로운 전쟁터로서의 우주공간에 대해 갈수록 목소리를 높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군사구조도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우주사령부 창설을 명했다.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지난해 8월 “우리의 적들은 우주를 이미 전쟁지역으로 만들어 놓았으며, 미국은 이 도전으로부터 결코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초강대국들의 이 같은 행보에 인도와 일본, 그외 우주 개발국들은 ‘우주상황감시(SSA, Space Situational Awareness)’ 체제 마련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우주의 현재 상황과 위협 요소들을 감시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즉, 지상의 레이더와 센서 등을 활용해 우주 쓰레기나 킬러 위성(적의 인공위성을 공격해 파괴하기 위한 군사 위성) 등을 감지하고 대응하는 것이다. 타임스오브인디아의 지난 3일 보도에 따르면 인도는 중국 견제를 위해 부탄·네팔·몰디브·방글라데시·스리랑카 등 인근 국가들과 함께 5개의 대형 지상국과 500개 이상의 소규모 기지국을 건설하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