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트럼프, 북 단거리 발사체 발사 언급 않고 김정은 비핵화 약속 강조

트럼프, 북 단거리 발사체 발사 언급 않고 김정은 비핵화 약속 강조

기사승인 2019. 05. 05. 03:2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트럼프 대통령 트윗 "김정은, 내가 함께한다는 걸 알고, 약속 깨지 않을 것"
비핵화 협상 재개의 문 열어둬, 김정은에 대한 신뢰 표시
"북 발사체 발사, 북미 군사적 긴장 2017년으로 돌아가는 초기 단계"
김정은 방러 기록영화서 리용호·최선희 '실세' 재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트위터 글에서 북한이 동해상으로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한 것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약속을 환기하면서 협상 재개의 문을 열어뒀다. 사진은 조선중앙TV가 지난달 28일 오후 김 위원장의 방러 전 과정을 담은 50분 분량의 기록영화를 방영한 것 중 한 장면. 김 위원장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도착 후 숙소 내 회의실로 보이는 곳에서 수행원들과 담소를 나누는 모습으로 좌우에 각각 대미외교 핵심 실세인 리용호 외무상과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앉아 있다./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북한이 동해상으로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한 것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약속을 환기하면서 협상 재개의 문을 열어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42분(한국시간 4일 오후 10시 42분)께 트위터 글에서 “김정은은 북한의 대단한 경제 잠재력을 완전히 알고 있고, 이를 방해하거나 중단하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라며 “김정은은 내가 그와 함께한다는 것을 알고 있고, 나와의 약속을 깨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합의는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은 북한이 이날 오전 9시 6분부터 9시 27분(한국시간)까지 원산 북방 호도반도 일대에서 북동쪽으로 신형 다연장 로켓포로 보이는 단거리 발사체를 여러 발 발사한 지 13여시간 만에 나왔다.

북한의 발사체 발사 도발에 대한 직접적 비판으로 북한을 자극해 비핵화 협상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으로 전개되는 것을 막으려는 언급으로 보인다.

북한이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를 감행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내세우는 비핵화 협상의 주요 성과가 설득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는 2020년 대선 가도에 악재로 작용하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 대한 변함없는 신뢰를 표시하기 위해 비핵화 약속과 북한의 경제적 잠재력을 김 위원장의 생각이라고 전하면서 톱다운 방식의 비핵화 협상 타결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이어간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처럼 아주 흥미로운 세상에서는 어떤 일이든 발생할 수 있다”며 사태가 악화될 경우 대북 외교적 관여에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실제 이번 도발이 북·미 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됐던 2017년으로 되돌아가는 초기 징후라는 분석도 나왔다.

해리 카지아니스 미 국익연구소 국방연구소장은 논평을 통해 “핵전쟁 위협, 개인적인 모욕, 어떤 일이 있더라도 피해야 하는 긴장 고조의 위험한 사이클로 되돌아가는 초기 단계에 놓인 게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에이브러햄 덴마크 우드로윌슨센터 아시아프로그램 국장은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트럼프 대통령이 얼마나 인내하면서 김 위원장에 대한 신뢰를 이어갈지에 대해선 의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 내 전문가들은 이번 도발에 대한 확대 해석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카지아니스 소장은 “북한은 장거리 미사일의 시험을 자체적으로 유예(모라토리엄)했을 뿐 모든 미사일 시험의 완전한 중단을 약속하지는 않았다”면서 “이번 단거리 발사에 충격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덴마크 국장은 “김 위원장이 핵실험이나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하지 않겠다고만 약속했다는 사실을 상기해야 한다”며 따라서 이번 발사는 기술적으로 약속 위반에 해당하지는 않는다고 평가했다.

제임스 마틴 비확산연구센터의 그레이스 류 연구원은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평양이 미국과의 협상을 원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안킷 판다 미국 과학자연맹 선임연구원도 “이번 발사의 메시지는 외교가 끝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김 위원장이 올해 말까지 시한을 설정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