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도로교통공단은 전국 지방자치단체별 교통안전 수준을 비교·평가한 ‘2018년 교통사고 통계 기반 교통안전지수’를 발표했다.
교통안전지수는 지자체별 사고 발생 건수와 사상자 수, 인구와 도로 사정 등 고려해 지수와 등급을 매긴 것이며, 공단은 지난해와 달리 더 심층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교통안전지수 등락으로 따진 개선 폭은 광역시 중에서는 광주가 5.65%로 가장 컸다. 광주의 교통안전지수는 2017년 74.47점(E등급)에서 지난해 78.68점(C등급)으로 상승했다. 도 단위에서는 전남의 개선율이 1.24%로 가장 높았다.
기초단체 단위에서는 광주 동구의 개선율이 8.17%로 전년 대비 교통안전 개선이 가장 뚜렷했다.
개선 폭이 아니라 현재 수준을 따진 교통안전지수 평가에서는 광역단체 중 강원(82.21점)과 인천(81.42점)이 A등급을, 전남(80.56점)과 부산(80.47점), 경남(80.26점)이 B등급을 받았다.
다만 인천과 부산, 경남은 전년도와 비교해 지수가 소폭 하락했다.
기초단체 교통안전지수는 전북 장수군이 85.15점으로 227개 조사대상 중 1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