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6·25 때 유출된 송광사 불화 ‘치성광여래도’, 영국서 돌아와

6·25 때 유출된 송광사 불화 ‘치성광여래도’, 영국서 돌아와

기사승인 2020. 07. 23. 15:5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조계종, 환수 고불식 후 송광사에 봉안
ㅇ
송광사 치성광여래도./제공=대한불교조계종
6·25전쟁 때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순천 송광사의 불화가 한국으로 돌아왔다.

대한불교조계종은 조계총림 송광사의 ‘치성광여래도’를 종단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긴밀한 협조와 봉안처인 송광사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환수했다고 23일 밝혔다.

조계종에 따르면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지난달 국외 경매시장에서 출품된 한국 문화재를 모니터하다 치성광여래도 1점을 발견해 종단과 공유했다.

조계종은 화기(畵記) 앞부분의 제작 연도와 봉안 사찰명이 훼손된 상황이었지만, 불화의 화풍과 남아있는 화기의 내용을 분석해 송광사 산내암자인 청진암에 봉안됐던 불화였음을 확인했다. 송광사는 종단의 통보를 받고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었지만 환수에 적극 나섰다.

조계총 총무원 문화부와 송광사,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소장자와 협의를 거쳐 지난달 28일 송광사 치성광여래도를 영국에서 환수했다. 조계종은 이날 종단에서 환수 고불식을 진행한 뒤 송광사에 봉안할 예정이다.

이 불화가 유출된 시기와 이유는 특정할 수 없지만, 한국전쟁 당시 유출됐을 것으로 조계종은 추정했다.

치성광여래도는 북극성, 북두칠성 등 별자리를 여래와 성군으로 의인화해 묘사한 불화로 국내에서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조성된 작품들이 전해진다.

송광사 치성광여래도의 조성 시기는 1898년으로 추정된다. 비단 바탕에 채색한 작품으로 크기(화폭 기준)는 141×102㎝이다. 이 불화의 구성은 중앙에 치성광여래가 있고, 좌우에 해와 달을 상징하는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이 합장을 하고 서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