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단독]울릉군 독도사무소, 독도경비대 담수화 퇴출수관 현상변경 추진

[단독]울릉군 독도사무소, 독도경비대 담수화 퇴출수관 현상변경 추진

기사승인 2020. 08. 02. 16:4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문화재청에 용적 확대 요청
배관 용적 적어 퇴출수 넘쳐
"이번에 제대로 설치해야"
독도관련 단체, 무단방류 처분 민원 제기
20200802_105648
독도 동도 정상 등대 옆 사면을 따라 해수를 이용해 담수를 생산 후 발생하는 농축수를 무단 방류해 독도 생태계 훼손이 우려되고 있다./제공=독자
경북 울릉군은 독도경비대의 담수처리 후 발생한 퇴출수 무단 방류에 대해 퇴출수 배관용적을 늘리는 변경허가를 독도경비대에 요청했다고 2일 밝혔다.

울릉군 독도관리소에 따르면 독도경비대에 설치된 담수설비 퇴출배관 용적이 작아 이를 늘리는 현상변경을 진행 중이다.

독도경비대가 담수처리 후 퇴출수를 그대로 방류한다고 지적한 아시아투데이 보도(7월30일자 1면)가 나간 후 이뤄진 조치다.

독도경비대에 설치된 담수화 설비는 국내 대형 담수 설비 업체가 기증해 2007년 설치됐다.

새로 설치한 담수화 설비는 60톤 용량이다.

60톤의 담수 생산을 위해서는 생산용량보다 많은 해수를 사용하고 바다로 방류해야 하는 데 퇴출수 배관 용적이 작았다는 것이다.

김승현 경남대학교 교수가 발표한 ‘해수담수화플랜트 농축수의 자원화’ 자료에 따르면 역삼투압 담수화 설비는 담수화 과정에서 생산수의 염분이 그대로 농축수(퇴출수)에 전달되기 때문에 해수보다 높은 염분농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담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해수보다 높은 염분농도의 농축수를 담수 생산량보다 많게 바다로 버려야 한다.

담수화 업체 관계자는 “퇴출수는 기존 해수보다 높은 염분농도와 밀도가 높아 해안에 그대로 방류하면 농축수가 해저에 침강하고 고밀도 층이 형성돼 환경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수심이 깊은 곳으로 방류해 확산, 희석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울릉군의 한 공무원은 “처음 설치때부터 문제를 안고 있었던 같다”며 “이제라도 퇴출수 배관을 똑바로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독도관련 시민단체는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에 경북경찰청장을 대상으로 독도 해수담수화 시설 농축수 무단 방류 및 문화재 손상 관련 처분을 요구한다는 글을 올렸다.

이들은 “독도경비대가 해수 담수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를 별도의 배수관로 없이 동도정상에서 독도사면을 따라 방류하고 있어 바닷물보다 염분 농도가 높은 농축수로 인해 염해 등이 발생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독도가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_20200729-231433_
독도 천장굴 내부쪽으로 호스를 이용해 해수 담수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를 퇴출하고 있다. 호스가 설치된 사면에 염분 등으로 보이는 하얀 결정체가 생겨 있는 모습.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