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10명 중 7명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 ‘오를 것’ 응답

10명 중 7명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 ‘오를 것’ 응답

기사승인 2020. 12. 03. 12:3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부동산114 '2021 상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
매매값 상승 69%, 전셋값 상승 77% 예상
내년 주요 변수 '정부 부동산 규제 지속 여부'가 1위
상반기변수
10명 중 7명이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한 조사결과가 나왔다.

부동산114(www.r114.com)가 지난 달 9일부터 23일까지 15일간 전국 1439명을 대상으로 ‘2021년 상반기 주택 시장 전망’ 온라인 설문조사(±2.58%/신뢰수준 95%)를 실시한 결과, 69%의 응답자가 매매가 상승을 예상했다. 또한 77%는 전세값 역시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부동산114가 2008년부터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상승 응답 비중이다. 반면 매매가 하락 전망은 전체 응답자의 5~7%(매매 응답 7.51%, 전세 응답 5.42%)에 그쳤다.

부동산114는 “정부가 그동안 다양한 규제 정책을 발표했지만 예상과 달리 주택가격이 꾸준히 오르면서 소비자 답변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매가격 상승에 대한 응답은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가격 상승(45.52%)’ 답변이 절반 가량을 차지했다. 올해 상반기부터 서울과 서울 접근성이 좋은 경기, 인천 지역들이 시세 상승을 주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27.69%) △덜 오른 지역에 대한 풍선효과(16.14%) △2021년 상반기 국내 경기 회복 전망(4.38%) △아파트 분양시장 활성화(3.59%) 등도 주택가격 상승 요인으로 선택됐다.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의 26.85%는 ‘거시경제 침체 가능성’을 주요 이유로 답했다. 올해 코로나19로 국내는 물론 글로벌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전환됐고, 부동산 같은 실물경기 침체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그 다음 하락 요인으로는 △세금 부담으로 인한 매도물량 증가(25.00%) △가격 부담에 따른 거래 부족(21.30%) △임대사업자 및 다주택자 매물 증가(10.19%)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8.33%) △사전청약 및 공공주택 공급 기대(7.41%) 순으로 답했다.

특히 전세가격이 오른다고 답한 1116명 중 31.09%는 임대차3법 일부(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시행에 따른 영향 때문이라고 답했다. 지난 7월말 시행된 새 임대차법 영향으로 전월세 시장이 재계약 위주로 재편되며 전세물건이 눈에 띄게 줄었기 때문이다. ‘임대인의 월세선호로 전세물건 공급부족(24.82%)’ 응답도 높았다. △서울 등 인기지역 입주물량 부족(19.18%)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 증가(17.20%)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거주 증가(5.56%)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세가격 하락 전망은 ‘높은 전세가로 인한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33.33%)’를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정부의 전월세시장 안정대책 발표 영향(28.21%) △갭투자 영향으로 전세 매물 증가(23.08%) △기존주택 매매전환으로 전세수요 감소(15.38%) 등을 전세가격 하락 이유로 선택했다.

이와 함께 내년 상반기 주요 변수에 대해서는 10명 중 3명 가량이 ‘대출, 세금 등 정부의 부동산 규제 지속 여부(26.75%)’를 꼽았다.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 여건(17.16%) △전세가격 불안흐름 지속 여부(16.19%)가 뒤를 이었다.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정부가 공시가격의 시세반영 비율을 90% 수준까지 높일 예정이고,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 부담도 기존보다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서울과 수도권, 광역시 일대 고가주택 소유자들 중심으로 납세 부담감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임대차3법(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시행 이후 전세가격 상승폭이 매매가격 변동률을 뛰어넘으며 매매가격까지 자극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며 “조기에 전세가격 불안흐름이 진정된다면 매매시장이 안정될 가능성이 높지만, 조기 진정이 어려워질 경우 전세시장에 떠밀려 매매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