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대선' 내년 4월 재보궐·2022년 대선 겨냥
당내 반발 무마·진정성 있는 실천이 향후 관건
|
과거와의 정치적 단절로 ‘합리적 대안 세력’으로서 자리매김하겠다는 ‘김종인표’ 혁신 구상의 결정체다. 다만 당장 김 위원장의 이번 사과에 대한 당내 반발을 어떻게 다독이며 진정성 있는 실천을 하느냐가 향후 숙제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15일 오전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헌정 사상 처음으로 대통령이 탄핵받아 물러나는 사태가 발생하였으며 국민을 하늘처럼 두려워하며 공구수성의 자세로 자숙해야 마땅했으나 반성과 성찰의 마음가짐 또한 부족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 좌우로 당내 반발 의견을 전했던 주호영 원내대표 등이 함께 섰다.
김 위원장은 “대통령의 잘못은 곧 집권당의 잘못이기도 하다”며 “쌓여온 과거의 잘못과 허물에 대해 통렬히 반성하며 정당을 뿌리부터 다시 만드는 개조와 인적 쇄신을 통해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사과 배경에는 대선 전초전이 될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중도 표심을 얻어 승부수를 띄우겠다는 의지가 깔렸다. 2022년 3월 대선까지 내다본 장기 포석으로도 읽힌다.
김 위원장은 난파선이나 다름없는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이 삼고초려 끝에 구원투수로 영입한 인물이다. 당시 보수정당은 4·15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에 지역구 163석, 비례대표(더불어시민당) 17석 등 과반 의석을 내주며 참패를 맛봤다.
◇‘중도확장’ 김종인 승부수, 재보선·대선 성적표 주목
특히 민주당이 선거 승패의 바로미터인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의석수 85%(121석 중 103석)를 석권하면서 통합당은 사실상 ‘영남 지역당’으로 쪼그라들었다.
당 지지층 확장을 고민하던 김 위원장은 5·18 민주묘역에 무릎을 꿇고 사죄했으며 경제3법 관련 입법도 추진하며 보수정당인 국민의힘의 쇄신과 혁신에 적지 않은 공을 들이고 있다.
김 위원장이 대선 후보 자질로 ‘40대·경제통’을 지목하고 초선 의원들의 역할을 넓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최근 4·7 재보선을 앞두고 금태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만나볼 의향이 있다고 밝히며 외부 인재 수혈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 위원장의 이번 사과가 당의 이미지 쇄신과 중도 확장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는 좀더 두고 봐야 한다. 당장 내년 4월 재보선 결과와 길게는 2022년 3월 대선 성적표가 증명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정치사에서 보수당은 선거 패배로 위기를 겪을 때마다 이념의 틀에서 벗어난 쇄신으로 극복을 모색해왔다. 1회 지방선거 당시인 1995년 민주자유당이 광역자치단체 15곳 중 5곳에서만 승리하는 참패를 맛봤지만 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으로 간판을 갈아치운 뒤 총선에서 승리하기도 했다. 당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수사하며 ‘모래시계’ 검사로 이름 날린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 등이 이때 영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