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청산 결정땐 협력사 줄도산
구조조정 후 매각 재추진이 최선"
정부, 금융지원 확대 등 나설 듯
|
18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 평택공장은 19일부터 23일까지 가동을 일시 중단한다. 서울회생법원이 지난 15일 쌍용차에 대한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한 이후 협력사의 납품 거부로 인해 생산 부품 조달에 차질을 빚은 탓이다. 앞서 쌍용차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을 이유로 지난 8일부터 16일까지 평택공장의 가동을 중단하기도 했다. 쌍용차는 부품 협력사와 납품 협상을 추진해 26일부터 생산을 재개할 방침이지만, 대금 결제 대한 우려가 큰 만큼 향후 추가 휴업을 검토할 가능성도 있다.
쌍용차 평택공장이 지난해 12월부터 가동과 중단을 반복하면서 쌍용차의 생산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약화하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쌍용차가 자구책 등을 담은 회생계획안을 법원에 제출해야 하는 만큼 고정비 절감을 위한 인적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쌍용차가 12년 전 처음 법정관리에 들어갔을 당시 촉발된 ‘쌍용차 사태’가 또다시 되풀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쌍용차가 처음 법정관리에 들어간 2009년 당시 전체 임직원의 36%인 2600여 명이 정리해고되자 노조는 이에 강력 반발해 같은 해 5월부터 8월까지 77일간 평택공장을 점거하고 파업을 벌였다. 그 결과 당시 한상균 쌍용차지부장 등 64명이 구속된 데 이어 1700여 명이 회사를 떠났고 조합원 970여 명이 옥쇄 파업 등을 벌이며 끝까지 버텼지만, 무급휴직이나 명예퇴직을 택해야 했고 이 중 165명은 결국 정리해고됐다.
인도 마힌드라의 전격 인수로 법정관리가 종료된 지 2년 후인 2013년부터 무급휴직자 454명을 복직시킨 이후 순차적으로 해고자와 희망 퇴직자를 복직시킨 쌍용차는 2018년 노조와 해고자 전원 복직 합의를 이끌어냈으나, 돌아온 직원들은 결국 구조조정 위기에 다시 내몰리게 됐다.
다만 노조가 인적 구조조정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데다 관리인인 정용원 쌍용차 기획관리본부장(전무)이 친노조 성향인 점을 고려하면 이전과 같은 대규모 정리해고 사태가 빚어질 가능성은 작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하지만 법원이 쌍용차의 자산과 부채 등 재무 상황을 검토한 이후 만약 청산 결정을 내릴 경우 2만명이 넘는 실직자가 발생하고 700~800개에 달하는 협력사의 줄도산이 현실화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쌍용차 부품 협력사는 219곳이며 이들 업체가 쌍용차에 납품한 금액은 연간 1조8000억원이었다. 현대차와 기아, 한국지엠보다 규모는 작지만, 타격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쌍용차 협력사 관계자는 “쌍용차가 청산 절차에 들어가게 되면 2·3차 협력사 등 약 16만여 명의 일자리가 위협받게 될 것”이라며 “구조조정을 통해 몸을 가볍게 해서 다시 한번 매각을 추진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한편 협력사들이 쌍용차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더라도 회생에 동참하겠다는 입장을 법원에 밝힌 만큼 향후 쌍용차의 구조조정 여부가 주목된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부 쌍용차 협력사는 이미 부도가 났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회사 내부에서 구조조정에 대한 불안감이 매우 커진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에 정부도 쌍용차 협력사의 경영난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 지원을 확대하는 등 유동성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