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코로나發 고용충격, 남성보다 여성이 더 커

코로나發 고용충격, 남성보다 여성이 더 커

기사승인 2021. 04. 22. 16:0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직장인 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고용충격이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코로나19 고용 충격의 성별 격차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본격화한 지난해 3월 핵심 노동연령(25∼54세) 인구 가운데 여성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54만1000명 줄었다. 이는 남성 취업자 수 감소 폭(32만7000명)의 1.7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특히 기혼 여성의 경우 코로나 위기 초기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가 모두 증가하면서 고용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월 기혼 여성 취업자가 한 달 내에 실업 상태로 이행할 확률은 1.39%로 남성(0.75%)을 크게 웃돌았다. 기혼 여성 취업자가 아예 경제활동을 중단할 확률은 5.09%로 남성(1.67%)의 3배에 달했다.

KDI는 코로나19 충격을 직접 받은 대면 서비스 업종의 경우 여성 종사자 비중이 남성보다 높아 여성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위기 직전인 작년 1월 당시 여성 취업자의 38%가 교육, 숙박·음식점업,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등 대면 서비스업에 종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남성 취업자의 대면 서비스업 종사 비중은 13%에 그쳤다.

이와 함께 여성 취업자가 스스로 일을 포기하는 경우도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KDI에 따르면 업종 변수를 통제하더라도 여성 취업자가 비경제활동인구로 이행할 확률이 남성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여성이 업종 이외의 이유로 노동시장에서 이탈한 경우가 있었다는 의미다.

또 연령별로 살펴보면 초등학생 자녀를 두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39∼44세 집단 기혼 여성의 노동 공급이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KDI는 코로나 위기 중 학교 폐쇄로 인한 자녀 돌봄 부담이 증가하면서 기혼 여성의 노동 공급이 제한된 것으로 풀이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