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달 26일 21개 위원국 만장일치로 서천, 고창, 신안, 보성-순천 갯벌 등 5개 지방자치단체에 걸친 4개 갯벌을 국내 15번째 세계유산이자, 두번째 자연유산으로 등재 결정했다.
해수부는 정부, 지자체, 시민사회,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세계유산 민·관 발전협의체’를 설립했으며, 정례회의를 통해 ‘한국의 갯벌’에 대한 발전방안과 구체적인 관리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번 첫 회의에서는 민·관 발전협의체의 운영방향과 한국 갯벌에 대한 관리계획을 전반적으로 논의한다.
‘한국의 갯벌’에 대한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관으로 ‘세계유산통합센터’를 설립해 운영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해수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까지 주요 철새 서식지인 군산, 무안, 화성 등 인근 습지보호지역에 대한 2단계 추가 등재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공청회 등을 통해 보호지역 지정 및 범위 설정에 관해 지역주민의 의사를 적극 반영하고, 습지보호지역 지정 및 유산 등재의 효과를 지역주민에게 돌려줄 수 있는 다양한 사업도 모색하기로 했다.
윤현수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는 갯벌의 생태적 우수성과 탁월한 가치를 인류공동의 유산으로서 전 세계가 인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민·관이 함께하는 세계유산 발전협의체를 적극적으로 운영해 한국의 갯벌을 통합적으로 관리해 한국의 갯벌이 가진 생태적 가치와 다양한 기능을 현 세대뿐만 아니라 미래세대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