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관리·비즈니스 구상 도움
교통시민단체들의 연합 ‘교통연대’는 26일 중고차 시장 전면 개방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연대는 “중고차매매산업 발전협의회가 협의를 시작한 지 3개월이 다 돼 가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지지부진한 협의를 끝내고 중고차 시장을 완성차 업체에 전면 개방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6월9일 발족한 중고차매매산업 발전협의회는 국회와 정부, 자동차매매조합과 각 협회가 참여하며 당초 8월 말까지는 협의를 마무리하기로 했지만 의견차가 커지며 결론이 늦어지고 있다. 최종 협의가 이뤄지든 이뤄지지 않든 다음 주 초 기자회견을 열고 최종 결과를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쟁점은 완성차 업체가 취급 가능한 중고차 대수다. 현재 완성차업체는 중고차 1년 거래량의 10%인 약 25만대를 취급하겠다는 입장이다. 중고차업계는 사업자 물량 130만대의 10%만 완성차 업체에 판매를 허용해야 한다고 맞선다. 25만대냐, 13만대냐를 놓고 다투는 셈이다. 또 중고차 업계는 현대차는 현대차 물량만 취급해야 한다며 매집 전면 허용을 반대하고 있다. 완성차 업계는 수입차와의 역차별, 소비자 선택권 침해 등을 이유로 전면 개방을 추진 중이다.
현대차그룹이 중고차 사업에 나섰을 때 얻을 수 있는 과실 첫 번째는 급성장하는 중고차 시장이다. 팬데믹으로 비대면 판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고 기존 중고차시장에 대한 불신이 커 현대차그룹이 관리하고 보증하는 온라인 판매는 흥행할 수 있다. 또 이는 장기적으로 현대차·기아의 신차 온라인 판매망 바탕이 될 여지도 있다. 현대캐피탈을 통한 각종 할부 등 금융서비스, 전국 블루핸즈·오토큐 등을 통해 1년 A/S 보장 등 기존 업계가 대응하지 못하는 다양한 서비스도 가능해진다.
브랜드 가치 상승은 현대차의 복안이다. 직접 자사 중고차를 관리하고 보증한다면 사고 및 고장 사례를 줄일 수 있고, 브랜드 전체 이미지가 좋아질 수밖에 없다. 품질 관리를 통한 중고차 값 상승은 신차 값을 올리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차 생산부터 폐차까지 이어지는 전주기를 관리하면서 축적한 빅데이터 활용처가 무궁무진하다는 것도 매력적이다. 판매와 생산 전략, 부품 수급 계획까지 보다 정확한 모니터링과 예측이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