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회생 시동 건 쌍용차, ‘KG’ 만나고 상폐도 피했다… 향후 경쟁력은

회생 시동 건 쌍용차, ‘KG’ 만나고 상폐도 피했다… 향후 경쟁력은

기사승인 2022. 05. 15. 17:3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인수 예정자 'KG 컨소시엄'
거래소, 상장폐지 일단 유예
연말까지 개선 기회 주기로
인수 후 회생 가능성에 주목
추가 투자금·구조조정 난제
basic_2021
쌍용자동차 새 인수 예정자로 ‘KG그룹-파빌리온PE’ 컨소시엄이 선정되고, 상장폐지 위기까지 넘기면서 그야말로 ‘쌍용차 살리기’가 일사천리로 진행되는 모양새다. 다만 2016년 이후 적자를 벗지 못하고 있고 렉스턴·티볼리·코란도까지 크게 3종이 전부인 모델 포트폴리오는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되기 어렵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차기 모델 개발과 출시 성공까지 불확실성 속 조단위 투자가 추가 돼야 할 뿐 아니라, ‘구조조정’ 난제까지 풀어야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 평가다.

15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이 쌍용차 새 인수예정자로 KG그룹-파빌리온PE 컨소시엄을 선정한 지난 13일은 에디슨모터스와의 계약 해제를 알린 지 불과 46일 만이다. 그야말로 속전속결이다. 같은 날 한국거래소도 쌍용차 상폐를 유예하며 12월 31일까지 개선기간을 주기로 결정했다.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입찰이 이뤄지기 때문에 우선매수권을 가졌더라도 원매자들과 다시 인수가격을 경쟁해야 하지만 KG컨소시엄의 자금력이 가장 탁월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제 쌍용차가 인수 후 회생할 수 있을지 그 경쟁력이 다시 주목받는다. 좀 처럼 발을 빼지 못하고 있는 적자 수렁이 가장 큰 문제다. 오랜 적자 끝에 2016년 깜짝 280억원 흑자를 냈던 게 전부다. 이후 다시 손실 폭은 지속적으로 늘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누적 손실이 1조1221억원에 달한다.

사업성은 어떨까. 쌍용차는 현재 총 5종의 모델을 판매 중인데 렉스턴·렉스턴 스포츠·코란도·코란도 이모션·티볼리다. 파생상품을 제외한다면 차급별로 대형 렉스턴·소형 티볼리, 준중형 코란도 3종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긴 기간 풀체인지를 내놓지 못하면서 소비자들의 관심도 멀어지고 있다. 지난해 쌍용차는 전년 대비 21% 쪼그라든 총 8만4496대를 팔았다. 이 중 국내 판매량은 5만6363대로, 매년 수입차에 밀리는 추세다.

특히 경윳값이 휘발윳값보다 비싸지는 상황에서 디젤차량 비중이 높은 것도 리스크다. SUV의 장점인 강한 토크를 살리려면 디젤엔진이 적합하기 때문이다. 판매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렉스턴이 디젤 모델로만 출시되고 있고, 코란도는 디젤과 가솔린 모델을 모두 내놓고 있지만 경제성과 가성비를 따지는 고객들은 연료 효율이 좋은 디젤 모델을 각광하고 있다. 향후 경제성을 잃은 디젤 모델들이 어떤 방향성을 보여줄지 관심사다.

기름값이 치솟으면서 소비자들의 관심이 전기차로 쏠리고 있지만 코란도 전동화 버전인 ‘코란도 이모션’의 미미한 판매량도 넘어야 할 산이다. 4월 말 기준 올해 판매량은 156대에 불과하다. 이때문에 차기 시장 경쟁력을 빠르게 잃고 있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추후 새 중형 SUV ‘J100(프로젝트명)’ 출시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평균 신모델 개발비는 3000억원 이상이고, 급변하고 있는 환경에 맞춰 경쟁력 있는 전용 전기차 모델 개발까지 나선다면 중장기적으로 조단위 투자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 시각이다.

전문가들은 합리적 운영이 가능한 수준으로 양측이 양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시각으로, 인수 이후에도 1조원 정도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고 봤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쌍용차는 일단 채권자와 노조를 설득하고 난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 마지막 정상화 기회를 살려야 한다”면서 “KG가 자동차산업 경험이 없기 때문에 강력한 의지 표명으로, 정리 절차를 밟아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또 “인수 이후가 더 위기일 수 있다. J100을 비롯한 신차가 국내에서 인기를 끌지 못한다면 위기는 더 가중되고 청산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면서 “기존 낙후된 설비를 전기차 설비로 바꾸고, 신차 개발자금까지 하면 1조원 정도가 더 필요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구조조정일 수 있다. 몇 년 월급 유예한 수준에 그치고 인력 개편을 못 한다는 것은 근본적 한계가 있다”면서 “비대한 구조로 과연 지속가능한 흑자 구조를 만들어 갈 수 있을지에 대해 큰 그림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전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