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은 18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2년 1분기 지역경제 동향’을 발표해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는 전국 17개 시도 전역에서 1년 전보다 상승했다고 밝혔다.
석유류, 외식 등이 크게 오르며 1분기 전국 평균 물가상승률은 3.8%을 기록했다. 2011년 4분기 4.0%를 기록한 이후 10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석유류 등이 크게 뛴 제주 물가가 4.7% 상승률을 보였으며, 강원 4.5%, 경북 4.4% 등이 뒤를 이었다.
물가 상승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로 3.3% 상승을 보였으나 이 역시 2012년 1분기 3.1%를 기록한 이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3%대에 오른 것이다.
올해 1분기 지역별 인구 이동을 보면 경기 9889명, 인천 5293명, 세종 4909명 등 8개 지역은 인구가 순유입됐다.
인구 순유출이 나타난 지역은 경남 -7611명, 울산 -3456명, 대구 -3091명 등 9개 지역이다.
또 생산의 경우 전국 광공업생산은 반도체·전자부품, 의약품 등의 생산이 증가하며 1년 전보다 4.6% 늘었다.
대전, 경북, 울산은 의료정밀, 반도체·전자부품, 자동차·트레일러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했으나 충북, 세종, 경기는 반도체·전자부품 등의 생산이 늘어나며 증가했다.
전국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보다 4.1% 증가했다. 모든 지역에서 증가를 기록한 가운데 특히 제주, 강원, 인천 등이 크게 뛰었다.
아울러 전국 소매판매는 전문소매점, 무점포소매 등이 증가한 영향으로 2.9% 늘었다. 그중 제주, 서울, 부산 등 지역의 판매 증가가 두드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