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일링스와 FPGA 기반 스마트닉 개발…고가용성 고성능 클라우드 인프라 개발 및 고도화 주력
|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지난해 6월 IaaS 보안 인증을 획득하고 같은 해 7월 공공기관용 ‘카카오 i 클라우드(Kakao i Cloud)’(이하 카카오 i 클라우드)를 출시하며 본격적인 공공 비즈니스 진출을 알렸다.
이번에 통과한 보안 인증은 최초 획득 후 1년에 한번씩 진행되는 사후심사를 통해 이뤄졌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기존 인프라를 관리형 쿠버네티스 기반으로 개선해 자동화 역량을 대폭 향상시킨 카카오 i 클라우드를 제출해 인증 범위를 확장시켰다.
CSAP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보안 인증 제도다. CSAP 획득은 공공기관에 도입이 가능한 보안 수준을 의미해 그만큼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관계자는 “쿠버네티스 기반 카카오 i 클라우드를 도입한 공공기관은 더욱 강력해진 클라우드 보안과 함께 쿠버네티스 기술로 기존 컨테이너로 구성된 서비스가 제공하는 장점을 활용할 수 있게 있다”고 자신했다. 자동화 기술을 통해 내부 시스템에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배포, 테스트, 기능 검증 및 적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강화된 안정성과 높은 가용성으로 클라우드 도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경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개발실 실장은 “이번 결과는 카카오 i 클라우드 보안 인증을 넘어 웹이나 앱에 비해 접근이 까다로운 인프라에 쿠버네티스 기술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클라우드 업계 리더십을 증명한 성과”라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국내 대표 IT 플랫폼으로서 보안과 가용성 측면에서 더욱 강화된 카카오 i 클라우드를 통해 공공부문에 더욱 적극적인 비즈니스를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