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반도체 ‘호황’ 삼성·SK, 역대급 상반기 보냈다…하반기 어떨까

반도체 ‘호황’ 삼성·SK, 역대급 상반기 보냈다…하반기 어떨까

기사승인 2022. 07. 03. 18:0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삼성·SK 합산 영업익 35조6800억
작년 25조9686억보다 37% 늘어나
글로벌 반도체 부족 장기화 등 영향
IT기업들 데이터센터 경쟁적 투자
하반기 역시 실적 개선 관측 우세
basic_2021
올 상반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이 역대급 호황을 누리면서 양사 합산 영업이익이 36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글로벌 반도체 부족 현상이 장기화하면서 높은 제품 단가를 유지한 영향이다. 전문가들은 IT기업들의 데이터 서버 증축 열기에 하반기에도 비슷한 호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그럼에도 국가대항 개념으로 번지고 있는 시장 패권을 둘러싼 불확실성에 관련 주가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 3나노 공정 반도체 양산에 성공했음에도 수율 문제 등 풀어야 할 과제에 대한 우려도 영향을 줬다. 전문가들은 60% 수준에 이르는 특정국가에 대한 반도체 장비와 소재 수입 의존도, 중국·일본에 비해 열세인 R&D 인력은 정부가 국가 경제안보 차원에서 리스크로 인식해 선제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일 금융감독원 및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올 상반기 합산 영업이익은 35조6800억원 규모로, 전년 25조9686억원 대비 약 37.4% 급증한 것으로 관측됐다. 반도체만 추려 낸 수치는 아니지만 산업통상자원부 발표에 따르면 실제 이 기간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 대비 21% 늘어난 690억2000만달러로 역대 상반기 중 1위를 차지했다. 6월 기준 반도체가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4%에 달한다.

AI와 빅데이터 중심의 IT산업 기조로 전 세계 데이터센터 서버 수요는 과거 어느 때보다 뜨겁고, 반도체난으로 파운드리 업황도 최고조에 이른 영향이라고 산업부는 분석했다. 반도체 산업은 14개월 연속 월 수출 100억 달러를 넘어서는 대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하반기 성적표는 어떨까.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있지만 전방산업인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 ‘언팩’ 등 신작 스마트폰의 출시와 글로벌 IT기업들 간 데이터센터에 대한 경쟁적 투자 구도를 감안하면 하반기 역시 완만히 개선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상하이 봉쇄 등으로 바닥을 친 중국 경기 회복세가 예상보다 더딘 상태로, 고객사들의 메모리 재고가 많이 쌓여 있어 가격 하락 시그널로 인식되는 점은 악재다.

전문가들은 치열한 글로벌 반도체 패권 혈투에서 우리 기업이 살아남으려면 범국가 단위 투자와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는 시각이다. 박용정 현대경제연구원 산업연구실 연구위원은 최근 낸 보고서에서 “반도체 경쟁력을 산업 안보의 전략적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총 60%에 육박하는 반도체 장비를, 일본과 중국으로부터 50%가 넘는 반도체 소재 수입을 의존하고 있는 현실을 인식해야 한다는 식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반도체 설비투자 규모는 TSMC를 축으로 한 대만과 경합 중이다. 대만은 2019년 171억 달러로, 99억달러에 머무른 한국을 압도했지만 지난해부터는 다시 한국이 20억~30억달러 격차로 앞서고 있다. R&D 투자 규모는 지난해 기준 삼성이 197억달러로 151억달러의 인텔이나 71억 달러의 퀄컴의 우위에 있다. 다만 총매출액 대비 R&D 투자액 비중은 삼성이 8.1%로, 20% 수준의 미국 기업들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의 혁신성에서 제고가 필요하다는 평가가 전문가들로부터 나오는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특히 핵심장비와 소재를 국내에서 자체 개발할 수 있도록 기술력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봤다. 포인트는 반도체 R&D 인력 양성과 핵심인력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정부 노력이다. 2019년 기준 반도체 제조 관련 R&D 인력이 11만명으로, 중국의 22만명, 일본의 14만명에 비해 열세로 분석됐다. 이에 대해 박 위원은 “자국 중심의 공급망을 재편해 대응하고 국내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위해서는 산·학·연을 아우르는 고급인력 육성 정책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