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동성은 줄고 계층 상승 기대 ↓
KDI "근로소득 견인할 일자리 대책 세워야"
|
31일 이영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은 이 같은 내용의 '우리나라 중산층의 현주소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복지로 '중산층' 늘었지만…고령층 빈곤은 여전히 심각
최근 정부의 각종 복지정책으로 소득 지원이 확대되면서 중산층의 비중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서 주로 활용하는 중산층 개념인 '중위소득 50∼150%' 비중은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2011년 54.9%에서 61.1%로 높아졌다.
그러나 시장소득 기준과는 다소 격차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근로·사업소득 등 '일해서 번 돈'을 뜻하는 시장소득 기준으로 따져보면 중산층 비율은 10년간 50%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처분가능소득은 연금·지원금 등 정부의 이전지출까지 포함한 소득이어서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중산층 비율은 국제적 수준과도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중산층 기준을 '중위소득 75∼200%'로 놓는데, OECD 평균 61.5%과 비교하면 61.1%라는 수치는 언뜻 괜찮은 성적표로 보인다.
그러나 '65세 이상 고령층'만 살펴봤을 땐 40% 전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노인 비중의 증가가 전체 중산층의 비중을 낮추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중위소득 50% 아래인 빈곤층은 15.1%로 OECD 평균 11.4%를 웃도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 문제의 심각성이 반영된 것이라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개천 용' 기대는 점점 줄어…해답은 근로소득 키울 '일자리'
|
'자녀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도 2011년 41.7%에서 2021년 30.3%로 낮아졌다. 문제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시장소득과 처분가능소득 모두 소득 이동성이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소득 변동이 크지 않았다는 얘기다.
자산 불평등은 교육격차로도 확대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보고서는 정부의 이전지출로 소득을 키우는 것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가구 내 취업자 수가 늘고 가구주 근로소득이 증가하면 빈곤층이 중산층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구체적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은퇴 중·고령층의 고용 기간 연장 유도, 여성 배우자 취업 장애요인 해소와 일 가정 양립 지원 내실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