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규홍 보건복지부(복지부) 장관은 2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같은 주요 내용의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윤석열 정부의 향후 5개년 응급의료정책 방향을 공개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이번 계획은 '현장·이송부터 응급실 진료와 수술 등 전국 어디서나 최종 치료까지 책임지는 응급의료체계 구축'에 주안점을 뒀다. 2018년 5.7%에서 지난해 6.2%로 올라간 중증응급환자의 병원 내 사망률이 말해주듯, 중증·응급의료체계가 갈수록 부실해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국민의 불안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데 따른 대책이다.
|
또 권역응급의료센터-지역응급의료센터-지역응급의료기관 사이의 역할 차이가 모호했던 이전과 달리, 응급진료 단계별 기관의 기능을 명확하게 한다. 사용자가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편하게 이름을 바꾸는 차원에서 중증-중등증-경증 단계별 의미에 집중하는 쪽으로 기관별 명칭을 변경할 예정이다.
이같은 조치는 조금만 아파도 대형병원 응급실로 달려가는 '대형병원 응급실 과밀화' 현상도 해소할 전망이다.
더불어 365일 지역 내 병원 간 순환당직을 바탕으로 하는 요일별 당번병원제를 실시해, 중증응급환자가 지역과 요일에 구애받지 않고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밖에 권역정신응급의료센터를 8개소에서 14개소로 늘려 정신응급환자 대응 기반을 강화하는 등 전문 분야별 대응 체계를 개선하고, 지역응급의료체계 평가를 도입해 지자체별 인센티브 구조를 마련할 방침이다.
국가시험을 거친 1종 응급구조사의 업무 범위에 심전도 측정 및 전송과 심정지 시 에피네프린 투여 등 5종을 추가해, 이송 중인 환자의 중증도 판단을 쉽게 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된다.
조 장관은 "응급의료는 골든타임을 놓치면 생명이 위급해진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급성과 중요성이 높다"며 "향후 5년간 추진과제를 충실히 이행해 전국 어디서든 응급상황에 골든타임 내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