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외교부에 따르면 양측은 지난 4월 말 진행된 한미 정상회담은 양국이 글로벌 포괄적 전략 동맹을 확장해 나간 계기가 됐다고 평가하고, 대북 정책 북한 인권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전 단장은 자리에서 "북한이 희소한 자원을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에 소진해 북한 주민의 인권·인도적 상황 악화라는 커다란 기회비용을 치르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들은 정상회의 뒤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하면서 추가 도발 시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상들은 북한을 향해 "국제 평화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추가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를 자제해야 한다"며 "그러한 무모한 행동은 반드시 신속하고 단일하며 강력한 국제적 대응에 직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전 단장은 미국 아태전략센터 데이비드 맥스웰 부소장과 미국 북한인권위원회(HRNK) 그레그 스칼라튜 사무총장과 만나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한 인권 개선 노력 등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