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고] 데이터 관리, 디지털 정부혁신의 열쇠

[기고] 데이터 관리, 디지털 정부혁신의 열쇠

기사승인 2023. 05. 30.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부혁신조직실장님_프로필사진
정선용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
요즘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인 챗지피티(ChatGPT)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높다.

빅데이터의 학습으로 구현되는 인공지능이 세계 경제에 기여하는 규모는 2030년까지 15조7000억 달러(글로벌 컨설팅업체 PwC) 정도라 하니 실로 세계는 데이터가 중심인 시대에 있는 것이 분명하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디지털 경쟁 시대에 인공지능과 데이터 중심의 정부혁신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데이터에 기반해서 과학적으로 일해야 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의 다양한 현안들을 데이터를 통해 발굴하고 최적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데이터 관리'는 정부혁신의 중요한 기반이다.

데이터 관리를 위해서 구체적으로 해야 할 일은 첫째, 다변화된 현대 사회를 정확하게 진단·예측하기 위해서 기관별로 국민의 요구와 정책에 맞는 유효한 데이터를 세심히 살펴보고 최대한 많이 생산·수집·저장해야 한다.

둘째,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품질을 관리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데이터의 융합·분석으로 국가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 데이터에 대한 부처 이기주의를 버리고 기관 간, 민·관 간 공동활용을 확대해야 한다.

행정안전부는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민간의 가치창출을 지원하고, 데이터에 기반하여 과학적으로 일하는 정부를 만들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공공데이터 공통표준용어를 제정·운영(2022년말 기준 1686개)하는 등 표준화 및 품질진단을 확대하였으며, 공공데이터를 민간에 개방(2022년말 기준 7만7272개)하고, 정부 내 공동활용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보(2022년말 기준 3755건)하고 있다.

아울러 보이스피싱 음성데이터 분석 모델, AI기반 CCTV 교통량 분석 모델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데이터 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올해 3월에는 중앙부처·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향후에는 민·관이 공공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법과 데이터기반행정법을 개정하고, 공무원을 대상으로 데이터 분석역량을 평가하고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세계는 데이터·인공지능·클라우드 등 혁신적 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을 재편하고, 근본적으로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디지털 심화시대에 직면해 있다. 정부도 행정에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데이터가 막힘없이 흐르는 플랫폼에서 정부 내 칸막이를 극복해야 한다.

갈수록 복잡해지는 사회현안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공공기관들이 데이터 관리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확대해야 한다.

행정안전부는 공공데이터의 민간 개방뿐 아니라, 부처 간 데이터 공유 노력을 통해 사회문제에 유연하고 민첩하게 대응하는 정부혁신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