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설계 등 7대 R&D 프로젝트 추진
입주업종 규제 풀고 민간투자 등 촉진
해외 우수인재 취업시 인센티브도 확대
|
정부는 올해 안에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을 개정해 국가전략기술에 바이오의약품 핵심기술을 추가할 방침이다. 대표적으로 동물 세포 배양·정제기술 등이 꼽힌다. 국가전략기술에 지정되면 관련 사업에 투자하는 대·중견기업은 15%, 중소기업은 2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여기에 올해만 10% 추가 제공하는 임시투자세액공제까지 고려하면 세금 혜택은 대·중견기업은 최대 25%, 중소기업은 최대 35%까지 늘어난다.
또한 차세대 신약을 신속하게 설계하는 '항체설계 AI(인공지능)', 희귀질환·암 등을 유전자 검사를 통해 예측·관리하는 '닥터앤서 3.0' 프로젝트 등 디지털바이오 7대 연구개발(R&D)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혁신적 바이오 의약품의 R&D-임상-수출-M&A(인수합병) 등 전(全)주기에 투자할 수 있는 1조원 규모의 메가펀드를 2025년까지 조성하고, 국내 우수 연구기관과 보스턴 선도 연구기관이 협력하는 '보스턴 코리아(Boston-Korea) 프로젝트'도 진행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12대 국가전략기술과 관련된 혁신 클러스터를 세계 최고 수준의 첨단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 중이거나 도입 추진 중인 클러스터 유형은 70여개다. 클러스터 수는 1800∼1900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이 가운데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와 같은 세계적인 수준의 클러스터는 찾아보기 어렵다.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는 MIT(매사추세츠공과대학), 하버드 등 지역 명문대를 중심으로 연구소, 병원, 기업 등이 군집한 세계적 바이오 단지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은 "그동안은 나눠먹기식, 공급자 위주로 클러스터가 구축되고 고도화 노력은 미흡했다"며 "이번에는 기존 클러스터 중 혁신 역량이 있는 곳, 시쳇말로 잘될 만한 것들을 지방자치단체가 개발하려고 하면 그런 부분을 키워주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 정부는 규제 완화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클러스터 입주 업종 제한 규제를 풀어 법률·회계·액셀러레이터(AC)·벤처캐피탈(VC) 등 사업지원 서비스 기업도 입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출연연구기관 유휴부지 용도변경, 건폐율·용적율 상향, 관리기본계획 개정 등 규제 완화도 추진한다.
신생 스타트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올해 AC 중심 '지역엔젤투자 재간접펀드'(200억원)를 새롭게 조성하고 AC 투자 규제도 완화한다.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규제완화, M&A 활성화, 자문참여 법무·회계법인 주식지급 등 인센티브 부여를 통해 민간투자도 촉진한다.
MIT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과 국내 우수 연구기관 간 R&D 협력사업 등도 추진한다. 클러스터에 입주하는 신성장·첨단·소부장 기술 관련 외국인 투자기업에는 최고 수준의 현금을 지원하고 해외 우수인재가 클러스터 내 기업·연구소·대학 등 취업시 인센티브를 늘린다.
지자체는 도시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기업·대학·연구소·상업·주거시설의 집적을 추진하고, 클러스터 입주 유망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확대한다. 클러스터 내 기숙사 공급 확대, 특별공급 기회 확대, 사택 제공 등 젊은 인재를 지방으로 유치하기 위한 정주 여건도 개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