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원 측은 이날 페이스북에 "공직자를 향한 의혹 제기와 이를 수단으로 정치적 공세를 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라면서도 "그 범위와 수준은 합리적이어야 할 것이고 사실에 기반해야 한다"고 남겼다.
또 "김 의원은 국회의원이 된 이후 지금껏 단 한 번도 누군가를 고소한 적이 없다. 정치인을 향한 의혹 제기와 비판은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며 "그 맥락으로 일부 보도에 한해서 고소를 하는 대신 언론중재위원회에 중재 신청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성원 의원과 장예찬 최고위원은 정치인이라는 지위에 있는 만큼 자신들이 한 발언의 책임을 져야할 위치에 있고 너무나 악의적이고 터무니 없는 주장들을 반복하여 부득이 고소를 결심하게 됐다"고도 했다.
김 의원은 재산신고를 하지 않은 채 거액의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국회 상임위원회 도중 코인 거래를 한 의혹을 받아왔다. 법제사법위원회 상임위 활동 중 코인 관련 법안을 검토했다는 점에서 이해충돌 논란의 중심에 섰고 국회 윤리위원회에 회부된 상태다. 지난달 더불어민주당 탈당 후 잠행을 이어오다 최근 국회에 다시 출근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김 의원 측은 "수차례 밝혀왔듯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 투자는 어떠한 불법이나 위법이 없었다는 점을 강조드린다"며 "향후 검찰 수사와 국회윤리특별위원회 자문위원단의 조사 과정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