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치안 사각지대를 집중적으로 살피기 위해 25개 자치구와 함께 '무차별범죄 대응 시·자치구 구청장회의'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회의를 통해 시는 자치구·경찰청과 협업해 경찰청 지정 범죄예방강화구역(160개), 여성안심귀갓길(353개), 폐쇄회로(CC)TV 미설치 치안 취약지역 전수조사를 실시해 범죄예방환경디자인 대상 지역을 확대한다. 기존 골목길 등 후미진 우범 지역에서 둘레길·산책길 등 시민들에게 개방된 지역까지 넓힌다.
또 2024년까지 모든 지하철 전동차 객실 내 CCTV를 100% 설치하고, 단순질서 유지 역할을 했던 지하철 보안관 269명을 범죄 순찰과 예방 업무에 투입하기로 했다.
시는 폭력, 이상행동 등을 자동 감지하는 지능형 CCTV를 단계적으로 교체하고, 자치구와 시 소속기관에서 분리 운영되던 CCTV관제시스템을 통합해 서울시와 경찰·소방 등에서 실시간 확인가능하도록 한다.
25개 자치구에서도 각 구의 상황에 맞는 무차별범죄 대응 대책을 수립했다. 이날 회의에서 도봉구, 은평구, 관악구, 강남구가 25개 자치구를 대표해 대응 대책을 발표했다.
도봉구는 정신질환자 집중 사례관리와 일선경찰 정신응급대응 교육 등 정신질환자 사고 사전예방 방안을 발표했다. 은평구는 북한산 산책로가 많은 특성을 감안해 경찰·소방·병원·북한산 국립공원사무소와 협력해 특별 TF를 구성한다. 관악구는 안심골목길 조성 확대와 이면도로 보안등 조도를 상향한다. 강남구는 2026년까지 CCTV를 매년 50대씩 총 200대를 추가 설치하고 2024년까지 인공지능(AI)기반 지능형 선별관제시스템 구축 계획을 내놓았다.
이 외에도 시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시·구·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무차별 범죄 예방 TF'를 운영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CCTV 확충 등 치안 인프라를 적극 개선해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할 필요가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사회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분노, 좌절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며 "이는 결국 취약계층 등을 포함한 약자와의 동행 정책이 무엇보다 절실하므로 자치구와 함께 이들을 발굴하고 적극 보듬는 정책을 펼쳐 나가자"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