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에도…'적합한 인재 확보 애로' 30.9% 최대
기업 39.4% "고용시장 개선 위해 '규제 완화 必"
|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 64.6%가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 중 채용계획 미수립 기업은 48.0%, 채용이 없는 기업은 16.6%였다. 올해 하반기 채용계획 미정은 지난해 하반기(44.6%)보다 3.4%p 증가했으며, 채용이 없다고 응답한 비중은 0.8%p 감소해 전년 동기 대비 큰 차이가 없었다.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 비중은 35.4%로, 이 중 전년 대비 채용 규모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기업은 57.8%, 줄이겠다는 기업은 24.4%, 늘리겠다는 기업은 17.8%로 나타났다.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 비중은 지난해(13.0%) 대비 11.4%p 늘었고,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 비중은 지난해(37.0%)보다 19.2%p 줄었다.
|
한편, 신규채용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경기 상황에 관계없이 미래인재 확보 차원(33.4%)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신산업 또는 새로운 직군에 대한 인력 수요 증가(22.2%) △회사가 속한 업종의 경기상황이 좋거나 좋아질 전망(22.2%)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올해 대졸 취업 경쟁이 작년보다 치열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대졸 신규채용 예상 경쟁률은 평균 81대 1로 조사됐다. 지난해 대졸 신규채용 경쟁률은 응답기업 평균 77대 1로 집계됐다.
청년들의 취업난이 심각한 상황인데도, 기업들은 정작 원하는 인재를 찾지 못하는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기업들은 신규채용 관련 애로사항으로 적합한 인재 찾기 어려움(30.9%)을 가장 많이 꼽았다.
대기업의 구인난은 실제로 확대되는 추세다. 올해 상반기 기준,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적극적으로 구인했으나 채용하지 못한 인원(미충원 인원)은 1만2000명으로, 2020년 상반기(6000명)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
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과제로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투자 및 고용 확대 유도(39.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25.2%) △신산업 성장동력 분야 기업 지원(15.7%) △진로지도 강화, 취업정보 제공 등 미스매치 해소(8.7%) 등을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은 경기침체로 인한 경영실적 악화, 중국경제 불안정·고금리·고환율 등 경영 불확실성 증폭으로 채용을 보수적으로 계획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와 국회가 규제 혁파, 노동개혁, 조세부담 완화 등 기업 활력을 위한 제도적 지원으로 고용 여력을 확충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경련이 '리서치앤리서치(R&R)'에 의뢰해 지난 8월 3일부터 21일까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이메일에 의한 온라인조사로 진행했으며, 응답기업은 127개로 표본오차는 95.0%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 ± 7.51%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