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기업 10곳 중 6곳 “하반기 신규채용 없거나 계획 미정”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908010005068

글자크기

닫기

박진숙 기자

승인 : 2023. 09. 10. 11:00

전경련, 매출액 500대기업 하반기 채용 계획 조사
취업난에도…'적합한 인재 확보 애로' 30.9% 최대
기업 39.4% "고용시장 개선 위해 '규제 완화 必"
1
23일 오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23 금융권 공동채용 박람회'에 구직자들이 모여 있다. /정금민 기자
글로벌 경기침체 지속과 고금리·고환율, 중국발 경제위기 우려 등 대내외 불확실성 가중으로 기업심리가 위축되면서 대기업 10곳 중 6곳은 올해 하반기 신규 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 64.6%가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 중 채용계획 미수립 기업은 48.0%, 채용이 없는 기업은 16.6%였다. 올해 하반기 채용계획 미정은 지난해 하반기(44.6%)보다 3.4%p 증가했으며, 채용이 없다고 응답한 비중은 0.8%p 감소해 전년 동기 대비 큰 차이가 없었다.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 비중은 35.4%로, 이 중 전년 대비 채용 규모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기업은 57.8%, 줄이겠다는 기업은 24.4%, 늘리겠다는 기업은 17.8%로 나타났다.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 비중은 지난해(13.0%) 대비 11.4%p 늘었고,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 비중은 지난해(37.0%)보다 19.2%p 줄었다.

매출액 500대 기업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
매출액 500대 기업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단위:%)./전경련
기업들은 신규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고 한 이유에 대해 △수익성 악·경영 불확실성 대응을 위한 긴축경영 돌입(25.3%)을 가장 많이 꼽았다△글로벌 경기침체 장기화, 고금리·고환율 등으로 인한 경기 악화(19.0%)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증가 등에 대비한 비용 절감(15.2%) 등을 주요 이유로 지목했다.

한편, 신규채용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경기 상황에 관계없이 미래인재 확보 차원(33.4%)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신산업 또는 새로운 직군에 대한 인력 수요 증가(22.2%) △회사가 속한 업종의 경기상황이 좋거나 좋아질 전망(22.2%)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올해 대졸 취업 경쟁이 작년보다 치열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대졸 신규채용 예상 경쟁률은 평균 81대 1로 조사됐다. 지난해 대졸 신규채용 경쟁률은 응답기업 평균 77대 1로 집계됐다.

청년들의 취업난이 심각한 상황인데도, 기업들은 정작 원하는 인재를 찾지 못하는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기업들은 신규채용 관련 애로사항으로 적합한 인재 찾기 어려움(30.9%)을 가장 많이 꼽았다.

대기업의 구인난은 실제로 확대되는 추세다. 올해 상반기 기준,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적극적으로 구인했으나 채용하지 못한 인원(미충원 인원)은 1만2000명으로, 2020년 상반기(6000명)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대기업 신규채용 관련 애로사항
대기업 신규채용 관련 애로사항(%)./자료=전경련
지난해 대졸 신규 입사자 5명 중 1명(21.9%)은 경력을 가지고 신입직으로 지원한 소위 '중고신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신규입사자 중 '중고신입' 비중은 △1%~10%(23.6%) △20%~30%(22.8%) △10%~20%(19.7%) △30% ~40%(12.6%) 순으로 나타났다. '중고신입'의 경력 기간은 평균 1.4년으로. 1~2년 경력이 있는 신입의 비중이 48.3%로 가장 많았다. 전경련은 "기업들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를 선호함에 따라 신입직 채용에서도 직무경험이 있는 사람을 우대하는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과제로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투자 및 고용 확대 유도(39.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25.2%) △신산업 성장동력 분야 기업 지원(15.7%) △진로지도 강화, 취업정보 제공 등 미스매치 해소(8.7%) 등을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은 경기침체로 인한 경영실적 악화, 중국경제 불안정·고금리·고환율 등 경영 불확실성 증폭으로 채용을 보수적으로 계획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와 국회가 규제 혁파, 노동개혁, 조세부담 완화 등 기업 활력을 위한 제도적 지원으로 고용 여력을 확충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경련이 '리서치앤리서치(R&R)'에 의뢰해 지난 8월 3일부터 21일까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이메일에 의한 온라인조사로 진행했으며, 응답기업은 127개로 표본오차는 95.0%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 ± 7.51%p다.
박진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