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칼럼] 창업정책이 혁신을 만드는 청년정책이다.

[칼럼] 창업정책이 혁신을 만드는 청년정책이다.

기사승인 2023. 09. 19.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김태균 경제정책실장
김태균 경제정책실장/서울시
전 세계인들의 구매방식을 바꾸고, 휴식을 즐기는 방식을 바꾸고, 정보를 찾는 방식을 바꾼 혁신기업의 태동 실리콘 밸리에는 기술을 만드는 모험의 시작에 창업가, 인재가 있다. 실리콘밸리의 스탠포드 대학을 비롯해 테크 경쟁시대에서 시장의 우위를 차지하는 세계적인 창업도시의 힘은 대학에서 시작한다. 유럽 최고의 스타트업 요람이자 세계적인 스타트업 축제인 '슬러시'는 핀란드 헬싱키의 알토 대학 창업팀에서 출발했고, 이스라엘에선 히브리대학, 테크니온 공대 등이 배출한 스타트업이 이스라엘의 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서울에 있는 54개의 대학에서 매년 13만 명의 졸업생을 배출한다. 서울시는 54개의 대학이 가진 혁신 경쟁력에 주목하고 있다. 기업가 정신이 태동하고 살아 움직이는 서울을 만들기 위해 대학을 창업의 전진지기로 만드는 '캠퍼스타운' 사업에 지난 7년간 39개 대학이 참여한 결과 대학의 창업시설은 4배 이상, 기업의 입주공간은 800실로 20배 증가했다. 일자리도 8000개 이상 창출됐다.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스타트업 투자 위축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작년 한해 캠퍼스타운 입주기업은 연매출, 연 투자액 각각 1000억 원을 기록했다. 서울경제의 젊은 엔진, 신선한 활력소로 성장한 셈이다. 무엇보다 큰 성과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창업에 도전해 성공한 선배 기업이 후배 창업 기업을 위한 길잡이와 멘토가 되고, 서로 이끌어주는 자발적인 '캠퍼스타운형 창업문화'가 대학가에 뿌리내리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이런 혁신동력이 전 대학가로 확산될 수 있도록 규제와 정책에 대한 과감한 혁신을 더했다. 미래인재 양성과 산학협력 공간을 조성해 반도체 등 첨단·신기술학과를 신·증설하고,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공간을 만드는 대학에는 사실상 용적률 제한이 없는 '혁신성장구역'을 도입하는 등 적극적으로 규제를 완화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학이 교육·연구기관을 넘어 기술혁신과 벤처기업 육성의 산실로 기능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창업교육, 기술실증 등 각종 지원도 집중할 계획이다.

서울의 목표는 2030년까지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유니콘 기업 50개를 키워내는 것이다. AI 2.0 시대를 열 20만㎡ 규모의 'AI 서울 테크시티'가 조성될 양재, 세계적인 바이오·의료 클러스터로 한 단계 도약하고 있는 홍릉, 세계적인 디지털 금융의 허브로 성장하는 금융중심지 여의도, 로봇산업의 중심 수서, 반도체, 전기차 등 제조업과 신산업이 융합된 고부가가치 '첨단 제조산업'의 거점이 될 금천과 구로의 G밸리, 초기 단계 스타트업부터 예비 유니콘까지 1000 개의 스타트업이 함께 성장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서울 유니콘 창업허브'가 조성되는 성수까지 새롭게 그려지고 있는 서울 전역의 산업지도에서 끊임없는 혁신이 지속돼야 가능한 일이다.

창업정책은 산업정책인 동시에 일자리 정책이고, 서울의 내일을 준비하는 미래 먹거리 육성 전략이다. 2030은 다시 그려지는 서울의 창업지도가 완성되는 목표연도인 동시에 청년세대를 상징하는 숫자이기도 하다. 그래서 창업정책은 '서울의 미래를 바꿀 청년정책'의 핵심이다.

우리의 생활을 바꾸는 일상의 혁신이 경제 동력이 되는 시대이다. 대학은 학문의 전당이자, 기업가 정신의 DNA가 발아하는 공간, 혁신 인재와 스타트업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창업 아이템을 가진 대학생이 캠퍼스타운에서 창업의 첫걸음을 시작하고, 서울 전역의 클러스터에서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는 '서울의 창업생태계'가 정착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든든한 창업 사다리, 청년이 혁신인재로 도약하는 디딤돌이 되겠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