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임 이후 '글로벌 중추 국가'(GPS) 외교 비전을 강조해온 윤 대통령은 김영삼 정부(1996~1997년), 박근혜 정부(2013~2014년) 때에 이은 세 번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활동(2024~2025년)에 앞서 '국제사회에 책임 있는 기여'를 천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한민국을 "지난 70년간 전쟁의 폐허를 딛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꽃피워온 나라"라고 소개하며, 앞으로 비상임이사국으로 개발·기후·디지털 등 세 가지 분야의 글로벌 격차 해소를 위해 국제사회에 책임 있는 기여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공적개발원조(ODA)를 과감하게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한국 정부는 올해의 긴축 재정 기조에도 불구하고 내년 공적개발원조(ODA) 정부 예산안 규모를 40% 이상 확대했다"고 밝혔다.
기후 격차 해소를 위해 녹색기후기금(GCF) 3억불 추가 공여, 원전·수소 등 고효율 무탄소 에너지 확산을 위한 오픈 플랫폼 'CF연합' 결성 계획 등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강점인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디지털 취약국의 디지털 전환을 돕고, AI(인공지능)와 디지털을 통한 가짜뉴스 확산을 막기 위해 '디지털 권리장전'을 조만간 제안하겠다고도 밝혔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성장발전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역시 "국제사회에 책임 있는 기여"라고 규정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전날까지 이틀간 뉴욕에서 17개국과 양자회담을 한 윤 대통령은 이날 연설 전후 시간에 11개 국가 정상을 만나며 부산엑스포 유치 총력전을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