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에 따르면 산지 쌀값은 지난 5일 기준 80㎏에 평균 20만688원으로 조사됐다. 이어 15일 기준으로도 평균 20만1464원으로 20만원대를 유지했다. 이는 작년 9월 16만원대와 비교하면 20% 넘게 상승한 것이다.
작년 산지 쌀값 하락은 2021년산 쌀 생산량이 전년과 비교해 10% 이상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쌀값 안정화를 위해 작년 10∼12월 수확기에 공공비축미를 45만톤(t) 매입한 데 이어 쌀 45만t을 추가로 수매해 쌀 90만t을 시장에서 격리했다.
농경연은 정부 수매로 산지에서 쌀 재고가 감소해 지난 5월 이후 산지 쌀 가격이 지속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쌀값 안정을 위해 올해 수확기 산지 쌀값을 20만원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벼 재배 면적을 감축한다는 내용의 '쌀 수급 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이런 정책에 따라 실제 올해 벼 재배면적은 70만8000㏊로, 작년보다 2.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쌀 생산량은 370만t으로 1.6%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농식품부는 이런 상황을 종합해 올해 10∼12월 수확기에도 산지 쌀값이 80㎏에 20만원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평년 수확기 산지 쌀값인 19만8604원과 비교해 다소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