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정운천·한무경·김영식 의원실 주관
산업부 "세미나 논의 내용 정책 반영하겠다"
|
28일 서울 중구 게이트웨이타워 토파즈홀에서는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원자력산업 정책제안'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세미나는 사단법인 사실과과학네트웍, 원자력발전포럼이 공동 주최하고 정운천 의원실·한무경의원실·김영식 의원실이 공동 주관하며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원자력문화진흥원, 원자력국민연대, 에너지안보환경협회, 에너지의미래를생각하는법률가포럼, 원자력정책연대, 원자력신문사가 후원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안세진 산업통상자원부 원전산업정책국장이 축사를 했다. 안 국장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에너지에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 무엇보다 원자력 발전이 중요해졌다"며 "IAEA에서는 원자력 발전을 2050년까지 2배 이상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유럽연합 등에서도 원자력 산업 발전에 공을 들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도 원자력 R&D에 투자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정부가 원자력 산업 투자 및 발전 관련 국민과 소통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이날 세미나에서 논의됐던 내용들을 잘 정리해서 얘기해주면 정책에 잘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후 이어진 발제에서는 전문가들의 원자력 산업 관련 규제 개선 및 정책 제안이 이어졌다. 이기원 지네스트(Gnest) 대표는 '지자체·민간 주도 수소생산전용 원자로 건설'을 강조했으며, 전 한수원 부사장을 맡았던 박기철 PMG 회장은 'APR1400' 사업 발전 위한 규제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직을 역임했던 박윤원 비즈(Biz) 대표는 '미래지향적 규제 개선 방안'으로 원자력안전규제의 목적을 모두 동일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원자력안전에 대한 국민신뢰도 제고 프로세스가 적절한지, 우리의 현재 원자력안전규제 인허가 체계는 효율적으로 운영되는지 논의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