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지자체·민간 주도 수소생산 전용 원자로 건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1128010018379

글자크기

닫기

박진숙 기자

승인 : 2023. 11. 28. 15:02

28일 '원자력산업 정책 제안 세미나'
이기원 대표 "PPP 투자 방식 추진"
"민원 발생 억제 및 지역 발전 효과"
원자력산업 정책 제안 세미나
이기원 Gnest 대표가 28일 서울 용산구 게이트웨이타워에서 열린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원자력산업 정책 제안 세미나에서 '지자체 민간자본 주도 수소생산전용 원자로 건설'이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송의주 기자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자본이 주도해 차세대 한국형 원전 'APR1400'을 이용한 수소생산 전용 원자로를 건설한다면 우리나라 원자력 산업이 더 크게 발전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8일 서울 중구 게이트웨이타워 토파즈홀에서 열린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원자력산업 정책제안' 세미나에서 이기원 지네스트(Gnest) 대표는 국제사회가 탄소중립 사회로의 도약을 선언한 만큼, 우리나라도 지자체와 민간 주도로 수소생산전용 원자로를 건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는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의 70~80%와 난방·차량·전력 등에 여전히 석유가스, 석탄 같은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는데, 국제사회는 2015년 채택한 파리기후변화협정을 통해 탈탄소 또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도약을 선언했다"며 "기후변화 위기를 해결하자는 노력의 일환으로 석유 등 화석연료 중심의 탄소 경제에서 벗어나 수소 경제로의 전환이 화두가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수소 경제의 핵심은 '그린 수소'로, 생산 및 모든 과정에서 깨끗한 수소를 말하는데, 수소는 액체나 고압 기체로 저장이 가능하고 운송이 용이한데다, 화석연료와 달리 고갈될 우려나 지역 편중이 없다"며 "특히 자연환경 조건에 따라 전기 생산량이 달라지는 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했다"고 덧붙였다.

수소 경제를 위해 이 대표가 제안한 것은 PPP 투자 방식으로 원전수소생산 사업을 추진해 안정적 건설자금을 조달하고, 원전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저탄소 녹색성장을 촉진해 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 대표는 " 지자체와 민간자본으로 구성된 특수목적회사(SPC)가 주도해 차세대 한국형 원전 'APR1400'를 유치 희망 지자체 부지에 건설하고, 그 전기를 이용해 최신 수소생산 설비를 병행 구축해 저장·운송·활용 등 관련 산업시설을 유치한다면 그린수소 메카를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정부의 원전부지 일괄 매수방식에서 지자체 유치 방식으로 전환한다면 민원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지역 주민 소득 증대와 지자체 사업 참여로 지역 발전에도 동참할 수 있다"며 "정부 또한 환경 보호와 함께 청정 수소인 원자력수소 생산모델을 해외에 수출하게 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지자체, 민간 기업 모두 기대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기원 지네스트(Gnest) 대표는 "지자체와 민간자본으로 구성된 특수목적회사 주도로 APR1400를 원전 유치 희망 지자체 내 부지에 건설하고, 그 전기를 이용해 최신 수소생산 설비를 병행 구축해 저장·운송·활용 등 관련 산업시설을 유치한다면 그린수소 메카를 달성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특히 정부의 원전부지 일괄 매수방식에서 지자체 유치 방식으로 전환한다면 민원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지역 주민 소득 증대와 지자체 사업 참여로 지역 발전에도 동참할 수 있다"며 "정부 또한 환경 보호와 함께 청정 수소인 원자력수소 생산모델을 해외에 수출하게 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진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