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정치개혁을 위해 다당제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국민 앞에 선언했던 그 모습은 오로지 위성정당을 반대하고 다른 세력의 정치적 진출을 돕는 모습하고만 연동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홍익표 원내대표의 이 발언을 언급한 그는 "제 귀를 의심했다. 그만큼 우리는 대중과의 약속 지킴에 무뎌져 있다"며 "어찌보면 그것이 지난 대선 패배의 결정적 요인이었기도 할 것이다. 물론 약속을 못 지킬 수 있다. 하지만 약속에도 무게의 다름이 있다"고 부연했다.
앞서 '연합 비례 정당'도 필요하다고 밝힌 홍 원내대표는 전날(5일)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대선 공약이었던 연동형제 이외 선거제 추진에 우려가 있다'는 질문에 "모든 약속을 다 지켜야 하느냐. 약속은 지켜야 하지만 못 지키는 상황일 경우에는 당당하게 설명하고 사과하는 게 필요하다"며 병립형 회귀를 포함한 모든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퇴행이라는 비판을 감수하고도 병립형의 길을 간다면 그 후과는 민주당 모두가 안아야 할 역사의 책임으로 다가올 것이 분명하다"고 했다.
이 대표의 불체포특권 포기 번복 또한 거론한 김 의원은 "(연동형 비례제) 약속을 어기는 건 불체포특권하고는 또 다르다. 체포동의안 약속 파기는 윤석열 정권의 탄압이라는 핑계거리라도 있었다"고 비꼬았다.
김 의원은 이 대표가 결국 병립형 회귀를 결정할 경우 "당의 운명은 통합이 아니라 분열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이 대표는 최근 당원 대상으로 한 유튜브 라이브에서 선거제와 관련해 "멋지게 지면 무슨 소용이냐"고 말해 사실상 병립형 회귀 쪽으로 기운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진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