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 우수과제 성과 발표 및 토의
|
이번 심포지엄은 그간 진행된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의 다양한 성과와 우수사례 발표 및 재활 로봇의 최신동향과 관련 정보들을 공유하는 자리다.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은 다양한 로봇기술을 재활 임상현장에 연계하는 중개 연구를 실시하고, 재활로봇 활용을 활성화해 장애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사업으로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단이 진행하고 있다.
심포지엄에서 첫 번째 세션은 '재활로봇중개연구의 동향, 상지 신경근 협응, 유연 착용형 로봇'에 대한 주제로 4개의 발표가 진행된다. 전민호 서울아산병원 전민호 교수가 좌장을 맡는다. 송원경 국립재활원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단장의 '재활로봇 네트워킹을 통한 도약'에 대한 발표를 시작으로 이수철 위더피플아이피컨설팅 변리사의 '상지와 손의 지식재산권 현황분석', 박형순 한국과학기술원 교수의 '근전도 기반 능동 보조 방식의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증강/가상현실 기반 상지 신경근 협응 재활시스템 중개연구', 강병현 세종대학교 교수의 '유연한 착용형 하지 보조로봇의 중개연구'에 대한 연구결과 발표가 차례대로 진행된다.
두 번째 세션은 기조연설에서는 세계적으로 관심도가 높은 최신 기술인 김대현 삼성서울병원 교수가 '뇌 가소성과 뇌졸중 후 운동 회복: 뇌 영상에서의 신경 상관관계'에 대해 발표한다.
허경무 단국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은 세 번째 세션은 '재활로봇중개연구 상지 분야 연구성과'에 대한 주제로 3개의 발표가 이어진다. 정봉근 서울대학교 교수는 '장애 아동의 손 기능 분석 및 증진을 위한 유연한 장갑형 손 로봇 중개연구', 오건영 경북대학교 교수의 '일상생활 동작을 모사하기 위한 착용형 상지 재활운동장치의 신뢰성과 성능 향상 및 인허가', 이진원 알피오 이사는 '줄꼬임 구동기를 이용하는 소프트 상지재활로봇의 중개연구'의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재활로봇중개연구 하지 분야 연구성과'를 다루는 세션 4는 이송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 연구원이 좌장을 맡는다. 곽관웅 세종대학교 교수의 '재활로봇 안전 및 성능평가를 위한 로봇더미 (Dummy) 개발 중개연구', 석동욱 코트라스 본부장의 '아동용 보행훈련로봇의 성능향상 및 인허가', 신준호 국립재활원 과장의 '뇌졸중 환자 대상 점진적 저항 보행 훈련의 효과 확인 연구' 등에 대한 발표가 예정됐다.
마지막 세션의 주제는 '재활로봇에 대한 제어·학습 분야 연구성과'로 신영일 한경국립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는다. 강상훈 울산과학기술원 교수의 '재활로봇의 안전성과 성능 향상을 위한 제어알고리즘 고도화 중개연구'를 시작으로 오영민 가천대학교 교수의 '운동학습 모델을 적용한 맞춤형 일상재활 로봇을 위한 운동 평가 및 피드백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송원경 국립재활원 과장의 '다방향성 양팔/양손 운동 상호작용 기술 기반 차세대 상지재활로봇 플랫폼 구현 및 상지운동 데이터 수집'에 대한 연구결과가 소개된다.
강윤규 국립재활원 원장은 "이번 재활 로봇 심포지엄을 통해 재활로봇중개연구의 다양한 스펙트럼에 대해 이해하고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이 장애인 및 노약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논의하는 발전적인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