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는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를 개최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고 11일 밝혔다.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9월말 기준 2.42%로, 6월말(2.17%) 대비 0.24%포인트 상승했으나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고 금융당국은 보고 있다. PF연체율은 작년말 1.19% 수준이었다.
증권(△3.43%p)의 연체율 감소는 우발채무인 증권사 보증 PF-ABCP를 PF사업기간과 만기가 일치되는 대출로 전환하고 PF 부실채권을 대손상각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 자리에서 김 위위원장은 PF리스크가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확잔되지 않도록 시장상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주문하면서 금융업권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금융회사의 총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는 55조8000억원으로 금융회사 총 자산의 0.8% 수준이다. 점검 결과,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에 따른 손실 위험은 향후 글로벌 자산 가격 하락 등 부정적 충격으로 손실이 확대되더라도 금융권이 지금의 손실흡수 능력으로 충분히 대응이 가능한 상황으로 평가된다.
김 부위원장은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손실이 시스템리스크를 유발할 가능성은 크지 않으나, 해외 부동산 익스포져가 큰 회사의 경우 개별 회사차원에서는 건전성 우려가 나타날 수 있는 만큼, 금감원이 앞으로도 손실 가능성과 각 금융회사의 대응 상황을 밀착 모니터링해달라"고 당부했다.
금융당국은 해외 주가 하락 등 충격이 발생한 경우 증권사들의 외화 유동성 조달 능력을 점검한 결과, 해외 주가지수가 동시에 급락 하락하는 경우를 가정했을 때에도, 현재 증권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외화 유동성을 통해 충분히 대응이 가능한 상황으로 평가됐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금융당국은 이달 만기 집중에 따른 퇴직연금 관련 자금확보 경쟁이 시장 불안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리 커닝공시 방지 등 불공정 관행 차단을 위한 제도개선 등을 추진한 결과, 자금확보를 위한 고금리 경쟁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또 현재의 금리 상황과 퇴직연금 신규 납입 예상 규모 등을 감안할 때, 자금쏠림에 따라 금융시장 불균형이 발생하거나 개별회사의 자금 유출에 따른 유동성 위험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또한 지난달 미국의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이후 기준금리 인상 종료 가능성, 연초 효과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시장금리가 하락하고 채권 투자 수요도 회복되고 있어 여전채 발행 여건도 개선 중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예상치 못한 시장 충격이 발생할 경우 신용도가 낮은 일부 여전사에서 유동성 압박이 심해질 우려가 있는 만큼, 유동성 지원을 위해 필요한 조치들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