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연구, 포럼개최, 신진 연구자 연구활성화 등 교류
|
|
11일 고려대학교는 SKERIC(Sweden Korea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Collaboration) 프로그램을 발족하고 최근 킥오프 회의를 마쳤다고 밝혔다.
올 3월, 룬드대학을 비롯한 스웨덴 대학들이 고려대에 교육-연구-혁신 협력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이를 기반으로 스웨덴 5개 대학이 한국의 고려대, 서울대, 포항공대와 3년간의 공동 연구협력 제안서를 제출했다. 이들 8개 대학의 공동 연구 컨소시엄은 스웨덴 국제연구재단(STINT)으로부터 약 19억원의 연구비를 수주해 2023년부터 2026년까지 함께 연구한다.
앞서 2022년 11월에는 고려대-스웨덴 주요 대학 연구자들이 학술포럼을 개최해 스웨덴 3개 대학(KTH, Lund, Umea)의 연구진 30여명과 고려대 측 연구진 20여명이 분야별 공동연구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SKERIC 프로젝트는 △미래 노벨상 수상자 양성 △과학 외교 아카데미 △과학을 비즈니스로 포럼 개최 등의 워크패키지로 구성된다. 양국간 연구 협력을 강화하고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 활성화를 독려하며 워크숍, 세미나, 강의 등의 지속적인 개최를 통한 교류의 장을 넓힌다는 데 지향점을 두고 있다.
미래 노벨상 수상자 양성 분야는 50여명의 박사 및 박사후 연구원(포닥)으로 구성돼 5분야의 연구그룹으로 나눠 융합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과학 외교 아카데미 분야는 미래 리더가 갖추어야 할 덕목을 발전시키는 다양한 리더십 프로그램들로 구성된다. 약 30명의 중견연구자들로 구성된 그룹은 지속적인 강연과 그룹활동들을 통해 미래형 연구 지도자로 성장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과학을 비즈니스로 포럼은 각 대학에서 3팀씩 총 24개의 스타트업을 선발해 각 대학의 학생창업, 교원창업 등을 지원하고 이들 간의 다양한 교류 기회를 제공한다.
SKERIC 프로젝트는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진행되며 매년 각 차년도 성과발표를 통해 그동안의 성과를 검토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점검한다.
김동원 고려대 총장은 "대학이 세상의 변화와 지식의 흐름을 선도적으로 전파하고 공유하면서 불확실한 미래에 적극 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투자는 글로벌 대학이 되는 것"이라며 "국제적 교육 및 연구 역량 강화를 통한 미래 경쟁력 확보를 도모하는 한편, 새로운 지식 창출을 선도하는 대학으로의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스웨덴 주요 5개대학들과의 연구협력 및 교류를 통해 우리 대학이 명실상부한 동아시아의 새로운 국제화의 허브 대학으로 거듭나며 브랜드 가치를 한층 더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