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동비행’·‘활공’·‘고체연료’ 방점…北, 극초음속 IRBM 시험성공 주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115010009147

글자크기

닫기

박영훈 기자

승인 : 2024. 01. 15. 15:46

한·미 요격망 무력화 제기
전문가 "성능 판단 일러"
북한
북한이 고체연료를 사용한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5일 보도했다./연합뉴스
북한이 전날(14일) 발사한 미사일이 신형 고체연료 추진체를 이용한 극초음속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이라고 주장하면서 동북아시아 안보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북한 발표가 사실일 경우 기존 미사일 대비 기습에 능하고 요격망 회피가 가능한 신무기를 확보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북한이 올해 탄도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지난해 12월 18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이후 27일 만이다. 당시 북한은 17, 18일 이틀 연속으로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5일 "북한 미사일총국이 진행한 극초음속 기동형 조종 전투부를 장착한 중장거리 고체연료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는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시험발사는 중장거리급 극초음속 기동형 조종 전투부의 활공 및 기동비행 특성과 새로 개발된 다계단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들의 믿음성을 확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북한 미사일 개발이 한·미·일 미사일방어체계(MD) 시스템을 무력화시킬수도 있다고 제기했다. 극초음속미사일은 발사 초기에는 탄도미사일처럼 움직이다가 일정 고도에서 추진체와 탄두가 분리돼 마하5(시속 6120km) 이상으로 활강하며 상하좌우로 변칙 기동한다. 이로 인해 한·미의 기존 미사일 방어체계로는 요격이 쉽지 않다. 현재 IRBM은 사거리 3000∼5500㎞에 달하는 미사일로 평양에서 직선거리로 괌을 비롯, 알래스카 미군기지까지 타격권에 둘 수 있다. 해당 기술은 러시아가 선두하고 있는 만큼 지난해 북·러 회담을 통해 기술 이전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극초음속미사일의 고도와 비행경로가 공개되지 않아 성능에 대한 평가는 유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이번 IRBM은 평양 인근에서 발사해 1000km를 비행했다는 것 만으로 지난 2차 발사 시기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다"며 "중장거리용으로 어떤 변화와 차이, 기술적 진전이 있었는지 말하긴 어렵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IRBM 중거리미사일 시험발사는 한반도를 넘어 표적에 대한 공격능력을 과시하기 위한 일환"이라며 "발사 성공여부는 현재 정보만으로 명확하지 않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속력 뿐 아니라 비행경로까지 변경할 수 있는 기동성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북한 정권은 이러한 도발이 자신들의 체제를 지켜줄 것이라는 헛된 꿈에서 하루속히 깨어나 진정으로 북한 주민들을 위하고 한반도의 미래를 향한 올바른 길로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박영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