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국가 디지털 금융정책 추친 현황 공유
|
아세안 국가의 디지털 금융정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금융의 디지털화에 따라 발생하는 위험요인의 해소 방안과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금융위원회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금융연구원(KIF)과 함께 '아세안의 디지털 금융'을 주제로 '한국-OECD 디지털금융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새로운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요인에 대해 적절한 규제 체계를 마련하는 등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글로벌 주요국들과 최신 금융 트렌드를 공유해 국제적인 규율체계와 일관성을 갖기 위한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디지털 금융 현황을 소개했다.
한국은 하나의 플랫폼에서 금융정보 조회부터 결제까지 가능한 오픈파이낸스를 선보일 수 있도록, 금융혁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오픈뱅킹을 도입, 금융결제망을 개방하고 개인별 금융데이터 관리 및 맞춤형 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한 마이데이터를 시행 중이다.
가상자산·CBDC 등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규율체계를 신속하게 도입하고 있으며, 금융분야 AI 개발·활용 안내서, 금융분야 AI 보안 가이드라인 등을 통해 AI 활용의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디지털 시대의 위기는 정형화돼 있지 않고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기 때문에 금융보안의 유연성을 제고하는 한편, 복원력 강화에 중점을 둔 제도개선도 추진하고 있다.
이틀(18, 19일)간 진행되는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1일차에 디지털자산(CBCD, 가상자산 등) 관련 글로벌 시장 동향을 살펴보고, 2일차에는 금융 부문 내 인공지능(AI) 활용에 대해 논의한다.
금융위원회는 이번에 논의되는 글로벌 동향 등을 향후 정책방향 마련에 참고하고, 다양한 국제기구·국가들과의 금융 분야 협력을 강화해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