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정권의 집값 상승, 어떻게든 막으려는 고육책 시각도
최성록 기자
|
이처럼 정치인에게 허를 찌르는 '반전'과 '선빵(선제공격)'은 상황을 뒤집을 수 있는 중요한 키워드가 되곤한다. 김영삼 대통령이 3당 합당을 통해 대통령이 되고 나서 제일 먼저 한 일이 하나회 척결이었다. YS 역시 취임 직후 군부에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했다. 육해공 중장 이상의 장성들이 참석한 회의에서 지휘부의 노고를 치하하는 등 사기를 진착시키는 작업에 나섰을 정도다. 그렇게 군부를 안심시킨 YS는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을 때 대대적인 숙청 작업을 통해 군부 내 하나회 세력을 완전히 종식시킬 수 있었다.
이 같은 측면에서 봤을 때 6.27 대출 규제 역시 이재명 대통령의 집권하자마자 시작된 반전 승부수로 볼 수 있는 여지는 충분하다.
이 대통령은 늘 자신이 '시장주의자'임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4일 취임식을 통해서도 '실용적 시장주의 정부가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대선 후보 시절에도 "나는 시장주의자다. 시장 대응을 믿지만 가격통제는 별로 안 좋아한다. 시장 왜곡을 불러오기 때문"이라며 "주택 문제도 시장 안에서 해결하는 것이 맞다. 시장을 이기는 정부가 없고, 정부를 이기는 시장도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랬던 대통령이 그 누구보다 강력한 규제를 들고 나섰다. 일각에선 뒤통수를 한 대 맞은 것과 같은 충격이라고 표현하기도 했을 정도다.
이 대통령이 반전 카드를 제시한 이유는 '진보정권=집값상승'이라는 프레임을 걷어내기 위한 고육책이라는 시각도 있다.
실제 최근 20년간 정부별 아파트값 변동률(부동산R114 기준)을 살펴보면 문재인 정부(2017~2022년) 시기 누적 상승률은 72.5%에 달했다. 노무현 정부(2003~2007년)가 63.8%로 뒤를 이었다. 박근혜 정부(2013~2017년) 땐 22.6% 올랐고, 이명박 정부(2008~2012년)와 윤석열 정부(2022~2024년 4월 기준) 때는 각각 -3.05%, -6.15%로 뒷걸음질 쳤다.
노무현 정권과 문재인 정권 이후 진보 정권이 재집권하지 못한 이유로 부동산 정책의 실패를 꼽을 정도다.
어쨌든 대통령은 반전 승부수를 제시했다. YS, DJ처럼 순식간에 진행됐다. 선발제인(先發制人)! 속전속결(速戰速決)!
이 같은 과감한 승부수로 새 정부가 취하는 경제정책에 대한 기대감은 커지고 있다. 다만 이 기대감이 새 정부의 날개가 될지, 심판의 잣대로 작용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진보 정권의 아픈 손가락은 부동산이다. 한두 개 손을 댄다고 해서 결코 해결되지 않는다는 걸 국민들도 알고 있다. 그래서 더욱 준엄하게 평가할 준비를 마쳤다. 무엇보다 그들은 현 정부의 뼈를 깎는 자성과 솔선수범까지도 지켜보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