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 감소, 비용 아닌 투자"…청년·고령층 일자리 확대·AI 대응도 과제로
|
김 후보자는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장관으로 임명되면 당정 협의를 통해 법 개정이 빠르게 추진되도록 하겠다"며 "노란봉투법은 대화를 막는 법이 아니라 오히려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법"이라고 말했다.
노란봉투법은 하청 노동자가 원청과 교섭할 수 있도록 하고, 사측이 노조를 상대로 과도한 손해배상 청구를 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윤석열 정부 시절 두 차례 국회를 통과했지만, 대통령 거부권 행사로 무산됐다.
김 후보자는 "헌법은 노동자에게 단결권과 교섭권, 파업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이런 권리를 제대로 누리기 어렵다"며 "원청이 사실상 모든 권한을 갖고 있으면서도 고용관계가 없다는 이유로 대화조차 못 하는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금 차별 해소를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김 후보자는 "같은 가치를 지닌 일을 하는 노동자에게는 같은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며 "정규직이든 비정규직이든, 성별이 다르든 같든 차별받지 않도록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임금 구조를 공개하는 '임금분포 공시제'도 도입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장시간 노동과 산재왕국의 오명을 방치한 채 기업의 경쟁력을 기대할 수 없다"며 산재 예방을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 그는 "중대재해를 줄이는 일은 비용이 아니라 생산성과 신뢰를 높이는 투자"라고도 강조했다.
청년·고령층을 위한 일자리 확대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김 후보자는 "청년들이 첫 직장을 기대감 속에서 시작할 수 있도록 돕고, 950만명에 달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계속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며 "인공지능(AI) 등 기술 변화가 노동 배제를 초래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