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월세수급지수는 103.2로, 2021년 10월(110.6) 이후 가장 높았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수요가 공급보다 강하다는 뜻이다.
전셋값 상승과 매물 부족으로 반전세 등 월세로 떠밀린 수요자들이 많아진 데 따른 현상이다. 6·27 대출 규제가 이 같은 월세화를 더욱 가속화할 전망이다.
주택 구입 목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경우 6개월 내 전입 의무가 부과되기에 실거주를 해야 하는 집주인이 점차 늘고, 이는 전세 매물 감소와 전셋값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이달 25일 기준 2만411건으로, 대출 규제 발표 날인 지난달 27일(2만4855건)보다 3.4%(844건) 줄었다.
반대로 월세 물건은 2.4%(446건) 증가한 1만9242건이었다.
강남구에선 월세 물건이 전세를 추월했다. 이달 25일 기준으로 월세 물건은 5074건, 전세는 4948건이다.
이렇다 보니 고가 월세 거래도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1∼25일 계약된 서울 아파트 월세(4343건) 중 200만원을 초과하는 거래는 634건으로 14.6%였다.
서울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전용면적 84㎡형은 지난 2일 보증금 1억원에 월세 640만원에, 7일에는 같은 평형이 보증금 3억원, 월세 540만원에 계약됐다.
대출 규제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이 막히면서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으로 잔금을 치르고 새 아파트 소유권을 이전받는 방식이 불가능해진 영향이다. 세입자가 대출을 내지 않아도 될 정도로 보증금을 낮추는 대신 월세를 받는 매물이 많아진 것이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임차인의 주거비 부담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