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정부 “SAF 개발비 최대 40% 지원”…혼합로드맵 발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8010010577

글자크기

닫기

김유라 기자

승인 : 2025. 09. 19. 10:24

SAF 얼라이언스 공식 출범
2027년 혼합의무화 차질없이
설비투자·연구개발 세액공제
20241226500088
실증 운항을 위해 대한항공 보잉 777F 화물기에 바이오항공유(SAF)가 급유되는 모습./대한항공
정부가 'SAF(지속가능항공유) 얼라이언스'를 출범하고, 국내 정유사·항공사에 지원책을 제시한다. 오는 2027년 SAF 1% 혼합 의무화 시행에 앞서, 구체적 추진안을 마련하고 인프라 구축을 이끌 방침이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국토교통부와 함께 'SAF얼라이언스'를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국내 SAF 생태계를 조성하고 국제 항공 탈탄소화를 선도하기 위함이다.

이날 서울 대한건축사협회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이원주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과 강희업 국토부 제2차관을 비롯해 SK에너지·GS칼텍스 등 정유사,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등 항공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SAF 얼라이언스는 출범식에서 'SAF 혼합 의무화 로드맵'을 공개하고 이행을 촉진하기로 했다.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까지 산업부·국토부와 업계 전문가가 회의를 거쳐 마련한 계획이다. 국내에선 오는 2027년부터 국제선 항공편에 SAF 1% 혼합이 의무화될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로드맵과 생산 설비 등 인프라가 미비해 업계에서 혼란을 겪어왔다. 이에 정부가 연도별 SAF 혼합의무비율과 지원방안 등을 종합해 발표한 것이다.

로드맵에 따르면 SAF 혼합 의무비율은 2027년 1%로 시작해 2030년 3~5%, 2035년에는 7~10%로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세부 수치는 국내 생산능력과 글로벌 시장 상황에 맞춰 조정된다.

산업부는 SAF를 공급하는 정유사에 대한 지원에 집중한다. 일례로 SAF 연구개발(R&D)과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지속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바이오 기반 SAF에 대한 시설투자는 최대 25%, 연구개발 비용은 최대 40%까지 지원된다"면서 "앞으로 차세대 기술 개발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 정책금융을 통한 신규 투자 지원, SAF 원료의 경제안보품목 지정, 미세조류 등 신원료 개발 강화 등을 추진한다.

국토부는 항공사의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현재 국제선 항공편에 제공되는 공항시설 사용료 감면을 2027년부터 직접 보조금 형태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또 SAF 혼합 의무비율을 초과 달성한 국적 항공사에게는 국제항공 운수권 배분 시 가점을 현행 1점에서 3.5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항공사는 승객이 운임 외 SAF 기여금을 자발적으로 낼 경우 라운지 이용, 기념품 제공 등 다양한 혜택을 마련할 예정이다.

업계에선 "환영한다"는 반응이다. 한 정유업계 관계자는 "SAF는 10년 안에 100조원 규모로 성장할 유망 시장이며, 생산과 공급을 동시에 끌어올리려면 정부의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면서 "한쪽에 쏠릴 경우 기업에 막대한 손실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유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