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김 장관은 "국토부 내 체계적인 조직을 확대해 공급 업무를 전담하도록 하겠다"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도 주택 공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경제부총리와 국토부 장관이 주관하는 부동산 공급 장관회의를 제안해 전 부처 에너지를 직접적으로 동원할 계획"이라며 "정부가 공급을 매개로 관계장관회의를 하는 것은 역사상 처음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가구 규모의 신규 주택을 착공하는 '9·7 대책'과 관련해서는 "세부 계획이 마련돼 있으며 추가 공급도 적극 검토 중"이라며 "국토부가 명운을 걸고 공급 속도를 높이겠다"고 전했다.
또 다음 달부터 매주 2회 주택 공급 보고를 받고, 정비사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불필요한 규제를 과감히 정비하겠다는 뜻도 덧붙였다.
정책 현안 질의에서 야당 의원들은 이재명 대통령 및 참모진 주택 보유 문제를 도마 위에 올렸다.
김정재 국민의힘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과 10·15대책 정책 입안자, 참모진들이 다주택을 보유한 채 부동산 대책을 내놓고 있다"며 "이들에게 집을 팔라고 건의하겠느냐"고 질의했다. 이에 김 장관은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김희정 국민의힘 의원이 "공직자 부동산 백지신탁제를 정부 입법으로 추진하겠느냐"는 질의에도 "검토해보겠다"고 했다. 부동산 백지신탁제는 고위공직자가 주거 목적의 1주택을 제외한 모든 부동산을 매각하거나 백지신탁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이상경 전 국토부 1차관의 고가 아파트 매입 및 갭투자 논란에 대해서도 거듭 사과했다.
김 장관은 "1차관이 사과하고 사의를 표명하는 과정에서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한 점에 대해 송구하고 죄송하다"고 밝혔다.
그의 사과에도 야당 의원들은 이 전 차관의 유튜브 출연 및 언론 대응 책임을 이유로, 대변인을 대기발령 조치한 점을 문제 삼았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인사조치에는 개인적 사정이 있어 구체적 설명은 어렵다"며 "다만 오해 소지가 있었다면 인정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정부 정책의 핵심은 시장 통제가 아니라 실수요자 중심의 거래를 유도하는 데 있다"며 "갭투기와 투기성 거래를 줄이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