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오전 10시 서울 서초구 서초동 중앙지검 청사로 출두한 조 의원은 혐의 인정 여부 등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검찰에서 진솔하게 조사에 임하겠다”고 짧게 답한 뒤 곧장 청사 안으로 들어갔다.
‘철피아(철도+마피아)’ 비리를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김후곤 부장검사)는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재직 때와 국회의원 당선 후 철도부품 업체 삼표이앤씨에서 억대의 금품을 받은 혐의를 잡고 조 의원을 이날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
검찰에 따르면 조 의원은 2008년 8월부터 3년간 철도시설공단 이사장으로 재직할 때와 2012년 4월 총선에서 당선돼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는 기간에 철도부품 업체 삼표이앤씨에서 억대의 금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앞서 지난 주 조 의원을 출국금지한 뒤 조 의원의 핵심측근 위모씨와 김모씨를 체포해 이틀 동안 조사한 뒤 석방했다.
조 의원의 고교 선배인 김씨는 한국철도시설공단 비상임이사를 지낸 인물로 알려졌고, 위씨는 지난해 3월부터 조 의원의 운전기사로 일하면서 수행비서를 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두 사람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조 의원이 직접 금품을 전달받을 시간과 장소를 두 사람에게 지시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 같은 혐의 입증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주듯 지난 1일 오후 체포영장까지 발부받아 신병을 확보했던 두 사람을 석방했다.
검찰은 조 의원 측에 넘어간 돈이 국회 국토교통위원이나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의 직무와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 조 의원에게 뇌물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위씨가 운전기사로 일한 시기 등을 고려할 때 검찰은 조 의원을 상대로 국회 상임위 활동 과정에서 철도부품 업체를 선정하는 철도시설공단에 압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금품을 건넨 삼표이앤씨 측의 진술 외에도 이 회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금품이 오간 정황을 입증할 수 있는 물증도 일부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그동안 삼표이앤씨가 사전제작형 콘크리트 궤도(PST)를 상용화하는 과정에서 정치권에 뒷돈을 건넸을 가능성에 초점을 맞춰 수사를 벌여왔다.
삼표이앤씨는 2011년 4월 중앙선(아신∼판대) 망미터널 궤도 4.8km를 PST로 시공해 상용화에 성공했지만 지난해 6월 코레일이 현장점검을 벌였을 때 곳곳에서 균열이 발견돼 논란이 됐다.
안전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삼표이앤씨는 지난해 11월 충북 제천에 연간 궤도 생산능력 200km 규모의 콘크리트 궤도 시스템 공장을 신축하는 등 사업을 확장해왔다.
앞서 검찰은 삼표이앤씨 대표를 수차례 소환해 조사하고 관련자들의 계좌와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