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로 정보감지 레이더 상용화 사업’은 고속도로와 국도 상의 장애물·낙하물·결빙 상태·정지차량 및 역주행 차량·악천후·노면상태·터널내 화재 등을 감지해 그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국토부는 실시간 돌발상황 관리에 한계를 갖고 있는 기존 폐쇄회로(CC)TV 등을 보완·대체하기 위해 국내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7년간 총 130억원을 투자해 지난 7월 세계 최초로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
미래부는 교통사고 예방 등 국민생활 안전을 위해 높은 활용가치가 기대되는 서비스인만큼 이 사업에 감지 거리, 분리능력, 성능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는 34㎓대역의 600㎒폭 주파수를 분배했다.
아울러 분배된 주파수대역에서 기술기준만 충족한다면 누구나 개발, 제작, 생산, 판매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2017년부터 상용화 예정인 지능형 교통체계(C-ITS)와 결합하여 활용되면 약 46% 정도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며 “이로 인한 비용을 연간 3조6000억원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