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무슨 이상한 소리냐, 운영위는 당장 소집해야"
|
21일 현재 29일 본회의까지 남은 시간은 단 8일. 하지만 주말과 성탄절 연휴를 감안하면 실제로 법안을 심사할 수 있는 시간은 3일 정도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23일 주례회동에서 국회 운영위 소집 여부와 지난 ‘2+2(당 대표+원내대표)’ 회동에서 합의한 공무원연금 개혁·자원외교 국정조사 국회 특별위원회 연내 구성 문제 등이 마무리 되어야만 관련 법안들을 본회의에서 처리할 수 있다.
문제는 ‘비선실세’ 의혹을 밝히기 위한 국회 운영위 소집 여부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임시국회가 문을 연 이후 운영위 소집 없이는 다른 상임위에 참여할 수 없다며 새누리당을 압박하고 있다. 반면 새누리당은 검찰 수사가 시작된 만큼 섣불리 운영위를 열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연일 ‘강(强) 대 강(强)’ 마찰이 계속되고 있다.
급기야 우윤근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는 지난 19일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항의 방문해 “23일 주례회동까지 운영위 소집에 대한 답을 주지 않으면 다른 상임위를 열지 않겠다”고 ‘최후통첩’을 한 상태다. 앞서 이 원내대표는 “검찰 수사 발표 이후 운영위를 소집하는 것이 보다 생산적이고 합리적인 운영”이라는 뜻을 밝히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김무성 대표는 21일 국회 운영위를 검찰 수사 결과 발표 이후 개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강원도 인제군 육군 제12사단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번주 중(12월 22∼26일) 아마 검찰 수사가 종결 발표되지 않겠느냐”며 “야당이 요구하는 국회 운영위 개최는 검찰 수사가 발표되고 난 뒤에 해야 효과가 있다”고 했다.
김 대표는 이어 “검찰 수사 중 운영위를 해 봐야 아무 의미가 없다”며 “국민 의혹을 해소하고 야당의 요구를 안 들어줄 수 없으니, 검찰 발표 뒤 운영위는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야당이 운영위를 볼모로 국회를 보이콧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이에 대해 “무슨 이상한 소리를 하느냐”며 검찰 수사까지 운영위 소집을 기다릴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서영교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검찰 수사는 그 문건이 어떤 경위에서 작성되었는지 그 문건에 있는 내용들은 사실인지, 정윤회가 국정 개입했는지, 십상시가 인사 농단을 했는지 이런 모든 것을 검찰이 밝혀내야 한다”며 “검찰수사 후에 국회를 열자고 한다면 국회를 열지 말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 원내대변인은 이어 “빨리 운영위를 소집해서 정윤회, 십상시들의 국정농단, 그리고 민정라인이 한경위를 어떻게 회유했는지, 최경위는 왜 목숨을 끊었는지, 그리고 청와대 비서라인이 말하는 청와대 7인회 감찰보고서는 있는 건지, 없는 건지, 대통령을 향한 몰카시계는 어떤 것인지 낱낱이 국회에 자료를 가지고 와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여야는 일단 22일 원내수석부대표 간 실무 협상을 가동해 23일 주례회동의 큰 틀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김재원 새누리당·안규백 새정치연합 수석부대표는 연일 실무 협상을 이어오고 있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절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