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북한 표준시간 변경…정부 “남북동질성 회복에 지장 초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50807010003725

글자크기

닫기

최태범 기자

승인 : 2015. 08. 07. 15:51

개성공단 출입경 등 남북교류에 지장 초래
북한 “일본침탈 표준시, 기존보다 30분 늦춰 사용할 것”
농기계 전시장 찾은 北 김정은 위원장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6일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농기계 전시장을 둘러보고 농기계, 부속품, 농기구 등의 성능과 기술적 특징을 점검한 뒤 만족감을 표시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정부는 7일 북한이 기존에 사용하던 표준시를 변경해 우리와 30분의 시차가 발생하게 된데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표준시 변경으로 개성공단 출입경 등 남북교류 등에 약간의 지장이 초래될 것 같다”며 “장기적으로는 남북통합, 표준통합, 남북동질성 회복 등에 지장을 초래하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북한은 이날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우리나라 표준시를 빼앗았다”며 광복 70주년을 맞는 오는 15일부터 표준시간을 기존에 사용하던 동경시보다 30분 늦춰 사용한다고 발표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동경 127°30’을 기준으로 하는 시간(현재의 시간보다 30분 늦은 시간)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표준시간으로 정하고 평양시간으로 명명한다”며 “평양시간은 8월15일부터 적용한다”고 보도했다.

정 대변인은 “국제적으로 표준시는 인접한 국가의 자오선을 쓰게 돼 있다”며 “우리는 중국 쪽(120도)과 동경 쪽(135도)의 중간에 있다 보니 일반적인 국제적 관례에 따라 동쪽을 쓰고 있으며, 그것이 통상 실용적인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광 절약이라든지 또는 낮 시간을 활용하는 측면에서는 대개는 오른쪽을 쓰게 게 맞다고 본다”며 “일제잔재 등의 측면이 아니고 국제적인 관례와 실용적인 측면이 더 기준이 돼 135도를 기준으로 표준시를 썼던 것”이라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시간(표준시)을 바꾸는 문제는 금융이라든지 항공이라든지 여러 가지 경우에 있어서 부대비용과 추가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며 “여러 가지 기회비용을 생각하는 측면에서는 손해가 좀 있겠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최태범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