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모직·삼성물산 주식 1500억원 가량 팔아
특히 합병 반대에 실패한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가(이하 엘리엇)이 출구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어 향후 평가 손실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9일 금융정보 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보유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지분율은 각각 11.88%(1856만1301주·6월30일 공시)와 5.04%(679만7871주·6월5일 공시)에 달했다.
합병안이 통과된 7월17일 주주총회 전날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주가는 각각 6만9300원, 19만4원이었다.
하지만 합병안이 통과되고서 외국인을 중심으로 ‘실망 매물’이 시장에 쏟아져나오면서 양사의 주가는 하락세를 거듭하고 있다.
특히 지난 6일 엘리엇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물산 지분 7.12% 중 4.95%에 대해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양사 주가는 추가로 떨어졌다. 이에 7일에는 각각 5만2300원과 15만3500원에 장을 마쳤다. 양사의 주가는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가격인 5만7234원(삼성물산), 15만6493원(제일모직)에도 못 미친다.
이 과정에서 국민연금은 삼성물산에서 3155억원, 제일모직에서 2753억원 등 총 5908억원의 평가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됐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의 장기적 시너지 효과를 믿고 합병에 찬성표를 던진 국민연금으로서는 평가 손실이 커지면서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이게 됐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 등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들이 대부분 삼성물산 합병 반대를 권고한 상황에서 국민연금이 SK와 SK C&C 합병 때와는 달리 의결권자문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독자적으로 찬성 결정을 내린 것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향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지분 투자로 인한 손실이 확정될 경우에는 책임론이 불거질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이 가운데 국내 연기금은 합병안 통과 이후 주가가 하락하자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주식을 대거 팔며 뒤늦게 ‘엑서더스’에 시동을 건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기금은 합병안이 통과된 지난달 17일 이후 제일모직 주식 1238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삼성물산 주식 319억원어치도 내다 팔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