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이 특정 국무위원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에서 이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을 언급한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국무회의가 끝난 뒤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이) 참석자들에게 '국무회의는 국정을 논하는 자리이기에 비공개 회의 내용을 개인 정치에 왜곡해 활용하면 안 된다'고 강한 어조로 질책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 위원장은 7일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대통령이 '이 정부는 언론을 장악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싶지 않다'며 방통위 안을 만들어 보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고, 대통령 발언의 진위 여부에 논란이 벌어졌다.
이에 이 대통령은 같은 날 저녁 여당 상임위원장단과 만찬 자리에서 여당의 방송 3법 처리와 관련해 "내 뜻과 같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강 대변인역시 이날 "(대통령의 말은) 지시가 아니라 의견을 묻는 것에 더 가까웠다"고 하며 이 위원장의 주장을 거듭 일축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1일 국무회의에서도 "임명된 권력은 선출 권력을 존중해야 한다"고 하며 최민희·황정아 의원 등 여당 의원들과 설전을 벌인 이 위원장에게 경고한 바 있다.
한편 감사원은 이날 이 위원장이 과거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특정 정당 또는 정치단체를 비판한 것에 대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의무 위반'을 들며 '주의' 조치를 내렸다.
감사원은 결정문에서 "이 위원장은 엄격한 정치적 중립성과 품위 유지가 요구되는 기관장"이라며 "파급력이 큰 유튜브 방송 등에 출연해 특정 정당 또는 정치단체를 지지 혹은 반대해 공무원의 정치중립 의무를 위반하거나 공직사회의 신뢰를 실추시키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지난해 8월 국회 본회의에서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이후 각종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좌파 집단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는 집단", "가짜 좌파들하고 싸우는 전사가 필요하다" 등의 발언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