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헌재 탄핵 선고 D-1…찬반단체 총력 집회 개최(종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70309010006026

글자크기

닫기

이철현 기자

승인 : 2017. 03. 09. 22:38

[포토]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안국역 주변에서 ‘탄핵 반대’ 집회가 열린 가운데 시민들이 태극기를 흔들며 ‘탄핵 각하’를 외치고 있다. /사진=이계풍 기자
KakaoTalk_20170309_194437710
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탄핵 인용을 위한 1차 광화문 긴급행동’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촛불을 들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이철현 기자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9일 헌법재판소 주변 등에서 찬반 단체의 집회가 열렸다.

‘대통령 탄핵기각을 위한 국민총궐기 운동본부(탄기국)’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재동 헌재 인근에서 ‘제18차 탄핵반대 태극기 집회’를 개최했다. 주최 측은 “3만명 이상이 참가했다”며 “오늘 2000여명이 이곳에서 밤을 지새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며 “탄핵 각하” 등의 구호를 제창했다. 안국역 4번 출구 주변에 마련된 대형 스피커에서는 “탄핵 각하”라는 음성이 계속 나왔다.

정광용 탄기국 대변인은 “헌재가 부족한 재판관 수를 늘리고 재변론을 시작해야 한다”며 “전 세계에 선고 날짜를 정해 놓고 진행하는 재판은 없다. 이정미 헌재소장 권한대행의 퇴임날짜에 맞춰 쫒기듯 진행된 재판에 대해 공정성을 논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선고를 기다리지 않고 탈당을 했다”면서 “이말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검찰이 엊그제 대통령에 대해 뇌물죄는 성립이 안된다고 발표했고 사드배치가 진행되고 있다”며 “이 3가지 이유로 인해 탄핵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주최 측은 오후 8시께 공식 집회 일정을 종료했지만 이후에도 일부 참가자를 중심으로 철야 집회를 계속할 방침이며 선고 당일인 10일 오전 대규모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경찰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헌재 주변에 220개 중대 규모의 병력과 360대의 경찰버스를 동원, 안국역 사거리에 폴리스라인을 설치해 참가자들의 헌재 방면 이동을 막았다. 또한 1인 시위를 제외한 모든 헌재 앞 집회를 금지했다.

촛불 집회 주최 측 역시 이날 집회를 열고 탄핵 인용 선고를 촉구했다. 박근혜정권 퇴진비상국민행동은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탄핵 인용을 위한 1차 광화문 긴급행동’을 개최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손에 촛불과 ‘탄핵’이라고 적힌 피켓을 들며 “헌재는 즉각 탄핵하라” “박근혜 대통령 구속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주최 측은 약 1만여명이 참석했다고 주장했다.

광화문광장 북단에 마련된 메인 무대에 오른 참석자들은 박 대통령의 탄핵과 구속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헌재의 민심을 반영한 선고를 촉구했다. 퇴진행동 법률팀 소속 김도희씨는 “헌재가 민심을 거역해서야 되겠느냐”며 “헌재는 즉각 탄핵하라”고 목청을 높였다.

참가자들은 본 집회 후 헌재 방향으로 행진했으며 헌재 인근에 도착, 박 대통령을 탄핵하라는 구호를 외치면서 공식적인 일정을 종료했다.

퇴진행동은 10일 오전 헌재 앞에서 ‘탄핵 인용을 위한 2차 헌재 앞 긴급행동’을 개최한다. 주최 측은 이날 선고 생중계 시청 후 이에 대한 공식입장을 밝힐 방침이며 저녁 7시 광화문 광장에서 ‘헌재 선고 당일 3차 광화문 긴급행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이철성 경찰청장은 이날 전국 경찰지휘부 화상회의를 열고 “헌재 판결을 방해하거나 결정에 불복하는 불법 폭력행위에는 더욱 엄정히 대처하라”며 “차량 돌진, 시설 난입, 분신, 자해 등 가능한 모든 상황에 대비해 긴장의 끈을 놓지 말라”고 강력대응할 방침을 밝혔다.
이철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