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야당은 국정운영의 동반자다. 대화를 정례화하고 수시로 만나겠다’고 약속했고, 정세균 국회의장도 ‘국회에 대한 국민 불신과 불안을 해소하는 첫 걸음은 협치’라고 말했다”며 “협력의 정치를 열어가는 틀로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를 구성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 수석은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는 지난 5월 문 대통령이 말씀하셨고 5당 원내대표들도 흔쾌하게 동의를 한 바 있다”며 “그동안 추가경정예산 등 현안으로 협의체가 진행되지 못해 아쉽지만 이제 정기국회가 시작된 지금 이 시점에는 협의체를 본격적으로 구성해서 운영할 때가 됐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전 수석은 “국민들은 생산적 정치를 원하고 있으며, 특히 이번 정기국회는 안보와 민생 등 여야정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해결해야 할 일들이 많이 있다”며 “정부와 국회, 여야가 산적한 국정현안을 초당적으로 협의하고 해결해 나가는 것이야말로 국민이 원하고 환영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전 수석은 이어 “협의체를 통해 여야정이 국민의 뜻을 함께 받드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야말로 협치를 실천하는 현실적인 지름길”이라면서 “빠른 시일 내 협의체가 운영될 수 있게 국회와 야당에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그는 또 “대통령께선 협의체가 운영된다면 입법과 예산을 포함한 국정현안에 대해 여야 지도부와 깊이 소통하고 대화해 나갈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현재의 틀에서도 대화와 소통 노력은 최선을 다해서 해가야 하지만 협의체라는 상시적이고 정규적인 틀에서 서로 대화한다면 보다 나은 결론, 보다 생산적인 정치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기대를 갖고 다시 한 번 간곡하게 제안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