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정상은 이날 뉴욕 한 호텔에서 40여분간 정상회담을 통해 이같이 합의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박 대변인은 “양 대통령들은 9월3일 제6차 핵실험 및 최근 일본 상공을 통과한 두 차례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포함한 북한의 지속되는 도발에 대해 가장 강력한 어조로 규탄하였다”며 “양 정상은 유엔 안보리 결의 2371호 및 2375호의 충실하고 철저한 이행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고 전했다. 박 대변인은 “양 정상은 북한의 위협적인 행동을 억제하고 비핵화를 향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북한에 대한 최고 강도의 압박과 제재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였다”고 덧붙였다.
박 대변인은 특히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북한의 비핵화를 평화적인 방법으로 추진한다는 양국 공동의 목표를 재확인하였다”며 “양 정상은 북한에 대해 압도적인 군사력의 우위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데 공감하고, 한국의 최첨단 군사자산의 획득과 개발 등을 통해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강화하기로 하였다”고 전했다.
또 한국과 주변지역에 미국 전략자산의 순환배치를 확대하기로 합의하였다고 박 대변인은 밝혔다.
두 정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방한 때 양국간 긴밀한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
이처럼 한국이 미군의 최첨단 전략무기 구매 방침을 정하면서 앞으로 어느 규모로 어떤 무기를 도입할 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게 됐다. 당장 청와대가 도입 필요성을 강력 언급해 온 핵추진잠수함 도입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구체적 무기 내용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며 “어떤 전략무기 자산을 (미국이 한국에) 팔 수 있는지 자기들 내부에서도 검토를 해봐야 하고 한·미 간에도 실무협의를 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오늘 양 정상간 합의가 된 만큼 앞으로 예를들면 양국 국방장관 회담을 비롯한 여러단위의 실무적 협의를 진행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