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당국회담 개최 가능성도
|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 대표단은 6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나고 귀환했다. 남북이 최고지도자의 특사를 주고받으며 본격 대화 분위기를 형성한 가운데 주요 현안에 대한 논의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9일 개막하는 평창 겨울패럴림픽 계기로 남북 교류는 이어진다. 평창패럴림픽에 참가하는 북한 선수단·대표단 24명이 7일 오전 경의선 육로를 통해 한국으로 온다. 이들은 곧바로 평창 선수촌으로 이동해 8일 입촌식을 가질 예정이다.
정현 조선장애자보호연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김문철 연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각각 선수단과 대표단 단장을 맡는다. 이들은 평창올림픽 개·폐막식을 위해 방남했던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김여정 제1부부장 등과 비교하면 ‘급’이 떨어지지만 장애인·스포츠 분야의 남북 협력에 있어 의미 있는 방남이 될 전망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현재 250건 이상의 대북 접촉 신고가 들어온 상태다. 이 가운데 문화예술, 체육, 종교 등 사회문화 분야가 150건이 넘는다. 우리 정부로서는 ‘평창 이후’ 남북관계 정립을 위해서라도 사회, 문화, 종교 등 각 분야에서 남북 접촉을 성사시키려는 의지가 높다.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남북 실무회담 가능성이 충분하다. 정부가 거듭 요구했지만 북측이 답을 미루고 있는 이산가족 상봉행사의 추진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김 위원장이 우리 특사단과의 만남에서 ‘군사적 긴장 완화’를 언급한 것은 1월 고위급 회담 당시 합의했던 ‘군사적 긴장상태 해소를 위한 군사당국회담’ 개최와 연계될 가능성도 있다.